로비가능성 높아 업계 반발

기획력 등 전문성 순기능도

 

최근 금융권 출신 임원급 인사가 업체로 자리를 옮기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논란도 가열되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금융권 인사의 업체 영입은 출신 금융기관에 대한 전방위 로비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확산시키고 있는 것이다.

반면 IT업계만 한정할 때 금융기관 출신의 전문성이 절실하고 특히 기획력에 있어 정곡을 찌르는 정책을 내놓기 때문에 평가절하할 이유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민은행 정보기술 책임자(CIO), 국민데이타시스템 대표를 지낸 정진백씨가 한국IBM 고문으로 위촉됐다.

이번 정진백씨 이동과 관련 업계에서는 "시끄러운 시기 부적절한 선택"이었다는 의견이 상당수였다.

당장 올 하반기 대규모 차세대시스템 발주를 눈앞에 둔 상황에서 공인의 적절하지 못한 선택이었다는 지적이다.

같은 은행 CIO출신 조준보 전 부행장의 행보나 김영일 현 한신평 대표와 대조적인 행보였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옛 한미은행 출신 배학 사장도 지난해 12월 티맥스소프트 해외사업담당 사장에 자리했다.

배학 사장 이동 역시 당시 큐로컴과 지적재산권 분쟁 1차 판결이 난후 일종의 보은인사라는 논란이 일었다.

티맥스소프트, 큐로컴의 재판과정에서 배학 사장이 가치중립적이지 못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것이다.

이같은 금융IT 업계 유력인사의 이동이 가져올 후폭풍에 업계의 이목이 쏠리는 것은 당연하다. 출신 금융기관에 대한 전방위 로비 가능성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표면적으로 외압을 행사하지는 않겠지만 전화 한두통으로 (사업자 선정의)대세가 바뀔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고 전제한 뒤 "사회적 공인으로써 신중한 행보가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이같은 부정적 시각에 대해 반론도 만만치 않다. 우선 업체 입장에서는 현재 운영중인 영업대표 구조로는 특수목적의 조직 및 운영원리, 사업방식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즉 금융기관 특성상 외부에 공개된 정보가 부족하다 보니 이같은 금융기관 출신 인사의 영입을 통해 보다 적극적 기획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SI업체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해당 금융기관에 대한) 정보의 생산 수위가 다르다"며 "영업정보를 생산하고 가공해 전략적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을 로비로 해석하면 지나치다"고 반박했다.

금융기관 출신 임원의 업체 이동은 결국 단기 성과에 얽매이느냐, 장기 투자를 전제하느냐 여부에 따라 그 선명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金東起 기자>kdk@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