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신한·농협 경영진 징계결정 주목

감독당국, 수위조절 놓고 정부눈치 역력
 
 
대규모 투자손실을 일으킨 CDO(부채담보부증권), CDS(신용부도스왑)에 대한 경영진 징계가 은행권 관심사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우리은행의 전·현직 경영진에 대한 책임추궁이 확산되면서 신한은행, 농협중앙회 경영진에 대한 징계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CDO, CDS 투자손실규모는 우리은행 14억달러, 농협중앙회 8억달러, 신한은행 5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소재를 놓고 금융감독원은 고심하고 있지만 이번 제재심의 수위가 은행권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미 농협중앙회는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로부터 파생상품 투자손실에 대한 집중 추궁을 받았지만 책임규명을 확실히 하지는 못했다.
 
당시 농협중앙회는 해외 파생상품에서 과도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손절매는 2건에 불과해 손실확대를 부추겨 위험관리에 소홀했다는 질타를 받았다.
 
이후 11월부터 금융감독원이 종합감사를 실시했지만 수개월째 최종 검사결과 보고서를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한은행도 지난 5월 종합감사 중 파생상품 투자에 대한 지적이 있었지만 최종 검사결과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일각에서는 감독당국이 징계 결정이 늦어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정부 눈치를 보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즉 이명박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전·현직 경영진을 징계하기가 부담스럽다는 것.
 
농협중앙회 최원병 회장과 굿모닝신한증권 이휴원 사장은 이명박 대통령과 같은 포항 동지상고 출신이다.
 
특히 이휴원 사장은 투자 당시 신한은행 IB담당 부행장으로 파생상품 투자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관계도 때문에 솜방망이 징계로 그칠 공산이 크다는 것이 은행권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경우 CDO, CDS가 집중 투자됐던 황영기 전 우리금융 회장 시절에 국한될지 현 이팔성-이종휘 체제에까지 영향을 미칠지가 관심사”라며 “제제 수위결정에 따라 다른 은행 경영진 징계도 명암이 갈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단 경영진이 정부와의 친분 때문에 징계 수위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같이 징계 수위를 낮춘다면 감독당국의 관리 소홀로 불똥이 튈 수 있다.
 
또한 국민정서를 감안할 때 금융당국 제제는 냉정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車振炯 기자>ji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