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서울정상회의 이후 윤곽잡힐 듯

 
대형화보다 자체적인 민영화 설득력
 
<대한금융신문 = 차진형 기자>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이 결국 제 방향을 상실했다.

금융위원회 진동수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7월 중순 이후 논의해 가능한 빨리 마무리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미 민영화 방안 발표를 연기한 상황에서 7월에도 제대로 된 방안을 발표할지 의문이다.

업계는 향후 정부가 발표할 민영화 방안은 예전과 동일한 수준인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 블록세일에서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정부의 의도가 오락가락한 상황”이라며 “그동안 추진했던 메가뱅크 방안은 독과점 문제와 대형금융기관 규제 강화 관련 세계화 추세 등과 맞물려 저돌적으로 밀어붙이긴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결국 제대로 된 민영화 방안은 오는 11월 G20 정상회의가 끝나봐야 안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금융 민영화를 통해 글로벌금융그룹과 견줄 수 있는 메가뱅크를 만들겠단 심산이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은 대형금융기관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며 이를 G20 정상회의에서 국제적 화두로 이끌고 있다.

오는 11월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의장국으로써 금융규제 관련 이슈를 매듭지어야 하는 상황으로 정부 스스로 우리금융 민영화를 주도할 수 없는 입장이다.

지분교환 방식을 통한 대등합병을 검토했던 우리금융지주도 자체적인 성장모색에 들어갔다.

LA한미은행 인수, 잇따른 해외IR 행사 개최 등 최근 행보를 살펴보면 국내 금융지주간 합병은 연내 이뤄지긴 힘들다는 견해다.

오히려 국민주 전환 방식, 국민연금 참여를 통한 자체적인 민영화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우리은행 노동조합은 포스코, 한국전력 사례를 들며 국민에게 지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사실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목적은 공적자금을 회수해 이익을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정부 논리대로 갈팡질팡 오랜 세월 끌어 현재는 국민도 우리금융지주에 근무하는 직원도 지쳐있다.

업계 관계자는 “매번 똑같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건 정치적 논리 때문”이라며 일갈했다.

ji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