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 1년새 24.5% 상승

2003년 신용대란 때와 유사
 
<대한금융신문=전선형 기자>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형 저축은행 중심으로 돌아가던 신용대출시장이 중·소형 저축은행으로까지 넓혀지면서 2003년도 신용대란 때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1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기준 저축은행 신용대출 규모는 4조100억원으로 2009년 12월 3조2200억원 대비 7900억원 가량 증가했다.
 
특히 대형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총 규모는 약 2조원 정도에 이르고 있으며 작년 하반기부터 신용대출을 개시한 저축은행과 올해 취급 예정인 저축은행까지 고려하면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 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HK와 솔로몬을 제외하고는 저축은행들이 신용대출에 전력을 보이지 않았는데 최근 들어 중·소형 저축은행들이 신용대출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며 “이는 최근 경제 불황, PF 사태, 삼화 부실 등으로 실적부진을 겪던 저축은행이 새로운 출구전략으로 신용대출을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최근 신용대출 규모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며 “이는 마치 2000년대 초반의 신용대란 때로 유턴하는 것 같다”며 현 상황을 우려했다.

2000년대 초 저축은행은 신용대출 사업의 열을 올리며 수익을 냈다. 하지만 무분별한 대출남발과 신용카드 대란 등의 경제적 악조건과 맞물리면서 160개의 달하던 저축은행이 지금의 105개로 줄어드는 구조조정을 겪었다.

이후 저축은행들은 신용대출로 입은 손해를 만회하고자 PF에 손을 뻗친다. PF는 2005년 부동산시장 활황에 힘입어 ‘대박’을 쳤지만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과 함께 끝없는 추락을 겪고 삼화저축은행과 같은 부실 저축은행까지 낳게 된다.

그리고 2011년 현재 저축은행들은 다시 신용대출 영업에 전력하며 PF로 인한 손해를 메우려 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말 기준 19%대다. 물론 2005년과 2007년의 63.5%, 51.9%보다 양호한 수치지만 결코 안심할 수만은 없다.

한 중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신용대출 전체 규모와 반비례하고 있다”며 “쉽게 설명하면 전체 신용대출 규모를 분모로 두고 연체율을 분자로 뒀을 때 연체율이 늘어나면 이를 줄이기 위해 분모를 더 키우게 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현재는 연체율보다 대출규모가 커 수치상으론 연체율이 낮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 점진적으로 대출시장 규모가 커져 포화상태가 됐을 땐 연체율이 겉잡을 수 없이 늘어나 제2의 신용대란 사태가 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제2의 신용대란을 우려하는 시선이 많아지면서 저축은행 신용대출에 대한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 관계자는 “오랜 시간 동안 신용대출 사업의 노하우를 쌓아온 대형 저축은행은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갖고 있다”며 “반면 중·소형사들의 대출고객에 대한 행동성향 및 사후관리는 심사자 혹은 관리자에 의해 수기로 관리 운영되는 등 제대로 된 체계가 없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저축은행 전체가 초기 심사, 승인뿐만 아니라 보유자산에 대한 사후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소액신용대출 자산에 대한 건전성 제고를 꾀해야 할 것”이라며 “나아가서는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경쟁력을 확고히 갖춰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su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