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금융지주 민영화 여전히 표류

M&A 의지 “말도 많고 탈도 많아”
 
<대한금융신문=차진형 기자>금융지주회사 중 CEO 교체가 임박한 곳은 산은금융지주만 남았다.
 
아직 공식적인 임기는 오는 6월까지지만 벌써부터 민유성 회장의 연임은 힘들 것이란 게 금융권 시각이다.

특히 다른 금융기관장 교체에 맞물려 조기퇴진 이야기도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조기 퇴진원인으로 민영화에 대한 정부 불협화음, 국내외 금융기관 인수 관련 구설수 등을 꼽고 있다.

산업은행은 지난 2008년 산업은행 민영화를 위해 최초의 민간 출신 최고경영자로 민유성 회장(당시 행장)을 영입했다.

민유성 회장이 조기 민영화를 추진하기 위해 첫 삽을 든 것은 국내외 금융기관 M&A 참여부터였다.

리먼브라더스, 우리금융, 외환은행 등 국내외 금융기관 M&A에 민유성 회장은 적극적인 참여를 표명했다.

그러나 소리만 무성할 뿐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정부와의 마찰만 일으켰다.

특히 리만브라더스 인수건은 민 회장이 리먼브라더스 재직시절 받은 ‘스톡 어워드’의 실체가 밝혀지면서 차익 실현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민유성 회장은 민영화를 위한 초석으로 올해 국내외 주식시장 상장을 목표로 삼았으나 이마저도 흐지부지한 상태다.

특히 정부가 바라보는 산은금융지주의 IPO(기업공개) 준비는 곱지 않다. 정부는 산업은행의 체질 개선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그동안 IPO를 서두르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출한 자금을 주식으로 전환하고 매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상장 작업이 흐지부지해지면서 애꿎은 중소기업만 자금난에 시달렸다.

소매금융 강화 전략도 답보상태다.

소매금융 강화를 위해 민 회장과 동고동락한 외부인재를 영입했지만 뚜렷한 실적을 올리지 못하고 중도 퇴임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내부에서도 민유성 회장이 끌어온 외부인력에 대한 평가도 동반하락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내부관계자는 “정부와 조율이 안된 사업을 무조건 전개하면서 막상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정부 탓만 한다”며 “민간 출신 CEO가 국책은행의 업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결국 민유성 회장이 임기내 달성한 것은 쓸데없는 아무도 알아 주지 않는 CI 변경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ji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