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민감, 부도확률 높아 연체율↑

담보대출보다 다양한 지원책 필요
 
<대한금융신문=차진형 기자>국내 은행권의 소호대출은 가계대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여전히 담보대출 위주의 영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신뢰성 있는 신용정보의 부족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금융거래정보, 매출정보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이 보유한 고객정보에 대해서도 금융회사들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소호영업의 수익성 및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개인사업자의 자금흐름을 통합, 관리하고 소호고객군에 특화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해 영업점의 리스크관리 기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업계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빅4의 소호대출은 가계대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소호대출 연체율은 가계대출 연체율에 비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2007년 이후 소호대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말 4대 은행의 소호대출 잔액은 88조원 수준을 기록, 전년말대비 5.4% 증가했다. 이는 4대 은행의 총대출 증가율(1.5%)이나 가계대출 증가율(2.8%)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반면 소호대출 연체율은 가계대출 연체율에 비해 여전히 높고 변동성도 큰 모습을 보이고 있다.

소호대출상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담보대출, 신용도가 높은 전문직 개인사업자(의사, 약사,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나 우수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대한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직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영세자영업자가 신용대출을 받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은행권이 이들에게 담보를 요구하는 이유는 신용평가 및 사후관리를 위한 정보수집 비용이 과다하고 소호 업종들이 대체로 경기에 민감해 부도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총사업자 중 개인사업자의 비중은 90%에 달하지만 업종내 경쟁강도 또한 높고 신용정보도 부족해 은행권이 우량한 차주를 판별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소호고객군의 경우 신용정보의 부족으로 대출단위가 크지 않고 고객 수도 적어 다른 고객군에 비해 은행 총이익에 대한 기여도가 낮아 은행권의 소호에 대한 관심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호 또는 개인사업자에 대한 신용정보기반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도 금융회사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금융거래정보(현황, 과거실적)는 은행연합회나 신용조회회사를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사업장의 신용카드 매출정보에 대해서는 고객의 동의 하에 부가통신사업자(VAN사)가 금융회사에 제공하고 있는 반면 공공기관 보유 정보에 대한 접근성은 극히 제한돼 있다.

전문가들은 의무보험 납부실적, 사망여부, 전력사용 실적, 국외이주신고 정보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활용하면 부족한 신용정보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가계대출 관련 영업환경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새로운 수익원 모색 차원에서 은행은 특정 상권이나 업종에 특화된 소호상품 및 서비스 패키지를 개발하고 신용카드, 리스, 보험 등 금융상품의 교차판매를 극대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ji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