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산은, 합병 시나리오 급부상

가능성 높으나 명분·민심 잃을 듯
 
산은금융지주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 슬그머니 숟가락을 올려놓을 심산이다.

업계에 따르면 산은금융지주는 조만간 재매각이 추진될 우리금융 민영화 입찰에 참여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이를 청와대에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은금융지주 강만수 회장은 취임 직후부터 우리금융 인수를 위해 그동안 물밑작업을 벌였다.

지난달 확대간부회의에서도 민영화 방안을 논의하는 등 우리금융 인수 추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왔다.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우리금융과 산은금융의 합병 시나리오를 적극 검토하고 산은금융지주 강만수 회장을 지원사격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 현재 관련 법으로는 산은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의 합병은 불가능하다.

현행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5조4항에 따르면 금융지주회사가 다른 금융지주회사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지분 95%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우리금융지주 지분은 57%로 두 금융지주회사간 합병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시장에서 38%의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추진중인 개정안은 95% 이상 보유해야 하는 소유 규제를 50% 이상으로 완화키로 방침을 정해 산은금융지주의 시나리오는 허황된 꿈에서 실현가능한 꿈으로 상황이 역전됐다.

반면 우리금융지주는 자체 민영화 방안을 추진키로 산은금융지주와 격돌할 전망이다.

우리금융지주는 정보 보유지분에 대한 시장 대량매각이 이뤄지면 투자자들을 권유해 우리금융지분을 사들이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민영화 입찰 때 이미 10조원이 넘는 투자금 유치를 약속받은 바 있어 자금확보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한편 금융권 안팎에서는 강만수 회장의 메카뱅크 방식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두 금융지주를 합치게 되면 정부의 지분은 오히려 80% 늘어나 공적자금 조기회수라는 목적은 더욱 멀어진다.

또 두 금융지주회사간 시너지 효과도 크지 않아 오히려 시장불균형만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은행과 산업은행의 국내외 지점수는 지난해말 기준 각각 921개와 51개로 합병시 1000개에 육박하게 된다.

기업금융 부문도 은행권 전체의 50% 웃돌아 몸집만 버거운 거대은행이 탄생하게 된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