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매각 만기물량 12월부터 쏟아져

저축銀 업계 별다른 대책없이 고심만
 
<대한금융신문=전선형 기자> 저축은행 부실의 근간이었던 PF 위기가 또다시 몰려오고 있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저축은행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위기 당시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에 매각했던 PF부실채권 만기가 연말로 다가오면서 저축은행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캠코가 지금까지 ‘환매’ 또는 ‘3년 뒤 사후정산’ 조건으로 저축은행으로부터 사들인 부실채권 규모는 약 6조2000억원. 이 중 1차 분인 3000억원과 2차 분인 1조2000억원의 만기가 각각 오는 12월과 내년 3월에 도래한다.

3000억원 규모의 1차 만기는 비교적 금액이 적어 큰 피해가 예상되지 않지만 2차 만기의 경우 전체 부실채권의 6분의1 규모로 저축은행 BIS비율 하락은 물론 자산규모를 눈에 띄게 줄일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업계는 “위기를 인지하고는 있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캠코에서 ‘만기 물량은 (저축은행에)환매한다는 게 기본 의견’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내비치고 있어 믿었던 PF부실채권 기한연장의 꿈도 불투명해진 상태다.

저축은행중앙회측은 “PF에 대한 위기를 알고 있지만 아직 별다른 방도가 없다”며 “현재 내부회의 등을 통해 방법을 모색 중이다”고 전했다.

한 대형저축은행 관계자도 “캠코에서 강경한 입장표명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1차 분의 경우 쌓아놓은 충당금으로 버틸 수 있지만 2차 분의 경우 규모가 커 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실 캠코에 2008년 PF채권 매각을 실시한 것도 정부차원에서 저축은행을 살리자고 추진했던 것인데 살리자고 추진했던 일을 이제 와서 죽이자고 원점으로 되돌리지는 않을 것”이라며 “단서조항을 강화하든 정부차원에서의 긍정적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저축은행에겐 또다른 PF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바로 올해 신규로 쏟아지는 PF부실채권 처리문제다.

지난해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국회 정무위원회에 보고한 자료를 보면 올해 저축은행들의 신규 PF부실채권 규모는 3조9000억원. 전체 부실여신의 50%에 해당하는 규모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현재 만기가 도래하는 PF부실채권도 문제지만 새롭게 추가된 부실채권의 처리도 큰 문제”라며 “만약 캠코가 신규 PF부실채권을 매입한다해도 저축은행 입장에선 소화하기 힘들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일반적으로 캠코에 부실채권을 매각할 때 100%가 아닌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데 예전에는 이에 따른 매각손실을 사후정산방식에 따라 처리했었다”며 “하지만 올해부터는 국제회계기준(IFRS)에 따라 장부에 반영된 매각 손실 모두를 미리 충담금으로 쌓아야하기 때문에 저축은행에겐 이래저래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것 이라며 장담하던 저축은행.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 PF위기의 불씨는 꺼지기는커녕 더 활활 타오르고 있는 모습이다.

ssu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