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경기부양 정책영향 커

되레 경기회복 발목 잡을 수도

<대한금융신문=김민수 기자> 세계 각국의 부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과도한 부채 증가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맥킨지는 총 47개국 중 22개 선진국과 25개의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정부, 기업, 가계부채의 증감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세계 부채규모는 금융위기 이후부터 지난해 2분기까지 57조 달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4분기 142조 달러였던 전세계 부채는 2014년 2분기 199조 달러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GDP대비 부채 비율은 269%에서 286%로 17% 포인트 늘었다.

47개국 중 부채 감소에 성공한 국가는 아르헨티나, 이집트, 이스라엘, 루마니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개발도상국 5개국이 전부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부채가 증가한 데는 금융위기 이후 각국 정부가 펼친 경기부양 정책이 한몫을 했다.

전세계 부채 중 정부부채는 25조 달러로 이 중 19조 달러가 선진국에서, 6조 달러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부채 증가는 전세계 부채 증가액의 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위기 직전 상대적으로 낮은 부채 수준에서 시작해 급속하게 진행되는 금융시장의 발전과 산업화 및 인프라에서 부채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소득대비 빠르게 증가하는 가계부채도 전세계 부채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의 경우 가계부채가 소득대비 200%를 초과했으며 호주(168%), 캐나다(155%), 한국(144%)도 가계부채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에서 지속적인 가계부채 증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주택가격과 가계부채의 상관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대출금으로 주택을 구입하고 향후 더 높은 가격으로 주택을 되는 현상이 부동산 시장에 반영돼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 것이다.

일부 국가의 부채 증가는 투자와 인프라 구축 및 도시화 등 발전적인 측면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과도한 수준의 부채는 또 다른 금융위기의 도화선이자 장기 불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자본시장연구원 표영선 연구원은 “정부부채는 일본, 미국, 유럽국가 등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별 적정 부채수준에 대한 논의와 대응책이 필요하다”면서 “또한 가계부채의 경우 경기회복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가계소득 둔화와 주택가격 상승을 복합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