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파른 증가세 보여

   
 

美기준금리 인상시 브라질 등 타격 불가피

<대한금융신문=서병곤 기자>갈수록 불어나고 있는 신흥국 대외 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올 하반기에 시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달러조달 환경이 변할 경우 높은 대외 부채에 따른 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신흥국 중 브라질이 가장 큰 위험성을 갖고 있으며 자칫 다른 신흥국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외화부채는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신흥국의 부채는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세로 전체 해외 부채 중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초 19%에서 2014년에 31%까지 급증했다.

눈에 띄는 점은 신흥국의 공공부채 증가 속도가 완만한 흐름을 보이는 것과 달리 민간부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흥국의 민간부채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3%에 달한다.

신흥국 중에서는 중국과 브라질을 중심으로 칠레, 남아공, 말레이시아 등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민간부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향후 달러조달 금리 상승 및 달러유동성 규모 축소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부채비율이 높은 신흥국의 재정난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은 유동성 확장을 중지하고 올 하반기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위험성에 가장 취약한 국가는 브라질이다.

브라질은 경상적자가 심화되는 가운데 재정수지 적자폭도 확대되면서 쌍둥이 적자가 늘어나고 있다.

브라질 경제는 2014년 역신장한 이후 올해에도 성장으로 전환이 불투명하다는 회의론이 지배적이다.
현재 고물가 부담으로 긴축 정책이 지속되고 있으며 소비, 투자 모두 위축돼 있는 상황이다.

다른 여타 국가들이 경쟁적인 금리인하에 나서는 것과 달리 브라질이 긴축적인 정책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것은 고물가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

여기에 최근 브라질 헤알화 약세와 전력 부족에 따른 전기료 인상이 예정돼 있고 세수부족으로 인해 연료세 인상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브라질의 고물가 추세는 쉽게 해소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며 헤알화 약세 역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내부적 악재와 함께 대외 자본조달 여건이 악화된다면 부족한 재정과 경상적자를 보전할 수 있는 수단이 사라지면서 브라질 경제는 더욱 진퇴양난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이를 내부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대안이 현재로선 없다는 게 브라질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다.

이는 비단 브라질만의 문제가 아니다.

브라질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더욱 악화된다면 이런 위험이 다른 신흥국 국가에 대한 기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증권 김승현 연구원은 "브라질이 안고 있는 불안 요인들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위험 확산효과에 대한 경계 때문에 대외 부채부담이 높은 신흥국들이 소외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투자자들로선 상대적으로 재정건전성이 좋고 유럽 및 글로벌경기여건 개선, 저유가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국가들을 투자 관심대상으로 좁혀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조건에 부합하는 투자대상으로 폴란드를 필두로 한 동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을 꼽을 수 있다"며 "브라질의 소외는 이러한 지역에 대한 투자 집중도를 더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