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금리 상승 따른 부작용 대비해야”

 
<대한금융신문=김미리내 기자>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움직임에 따라 장기금리 상승 및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부작용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과거 금리인상기와 미 국채수요 전망 등을 감안할 때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이 장기금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증한 미 국채발행 물량과 기간프리미엄 반등 가능성을 간과했을 여지가 있다는 것.

국제금융센터 윤인구 연구원은 “과거 연준 정책금리 인상기 동안 정책금리 상승 폭에 비해 장기금리 상승폭이 제한적 수준에 그치면서 장단기금리차가 축소됐다”며 “이에 대부분의 분석기관들이 낮은 인플레 압력과 저성장, ECB·BOJ 통화정책 완화 등으로 미 장기국채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해 장단기금리차가 축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해외투자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2.26%, 2년물은 0.65%로 장단기금리차는 161bp다. 여기에 올해 4분기에는 10년물 금리가 2.49%, 2년물 1.21%로 128bp, 2016년 3분기에는 각각 3.01%, 1.98%로 금리차가 103bp로 지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윤 연구원은 “금융위기에 대응해 연준의 미 국채매입이 시작됐던 2009년부터 연간 미국의 국채공급 물량이 2008년 대비 2배 급증한 상황이 지속되고, 금리인상 이후 연준의 재투자 중단 및 만기환수 시 그간 증가한 공급물량에 대한 차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연간 미국의 장기국채 발행규모는 금융위기 이전까지 2007년 7500억 달러, 2008년 1조200억 달러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 재원확보 등을 위해 2009년 2조1000억 달러로 2배 이상 급증한 후 현재까지 2조 달러 이상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2009년 3월 이후 연준의 미 국채 보유액은 6년간 2조 달러 증가해 연준의 직접적 수요만으로 6년간 발행물량 증가분 누적액 7조1000억 달러의 28%를 흡수, 국채 유통시장의 공급물량 부담 완화로 국채금리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마이너스 수준까지 하락했던 기간프리미엄이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는 점도 향후 장기금리 상승 및 장단기금리차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다.

윤 연구원은 “비전통적 정책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거 금리인상기와 상이한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기간프리미엄 반등세로 장단기금리차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준 재닛 옐런 의장 역시 지난달 6일 장기금리가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은 낮은 수준의 기간프리미엄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나 기간프리미엄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때문에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이후 미 장기금리가 과거와 달리 민감하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글로벌 채권시장의 벤치마크 금리인 미 국채금리의 상승에 따른 부작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

윤 연구원은 “최근의 장기금리 상승 및 장단기금리차 확대는 경기 회복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하기 곤란하다”며 “미 장기금리 상승은 미 경제에 대한 영향뿐 아니라 각국의 달러화 차입비용 증가로 이어지면서 신흥국 불안을 촉발시킬 수 있어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