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산업 선정기준 수립 위한 자문 시행

<대한금융신문=염희선 기자> KDB산업은행이 정책금융 지원이 필요한 신성장산업 찾기에 나섰다. 

수십조원의 정책금융이 투자될 산업분야를 선정하는 작업으로, 금융권과 산업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 신성장정책금융센터는 미래 신성장산업 선정기준 수립을 위한 외부자문을 실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양한 미래 신성장산업 중 옥석을 가리고 수십조원의 정책금융을 투자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국내의 발전 가능성이 큰 산업과 제반 환경을 정부나 정책 당국 측면이 아닌 시장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동안 산업부나 미래부 등 각 부처 및 연구원에서 정책 목적에 따라 발표해온 신성장산업에 대한 교통정리도 진행할 예정이다.

산업은행 신성장정책금융센터 박상일 센터장은 “정부 각 부처에서 발표하고 있는 미래 신성장산업 분야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시장의 의견을 듣고, 직접 분석을 통해 금융지원이 필요한 산업을 찾기 위해 자문을 진행하는 것”이라며 “다만 초기 작업이기 때문에 하나의 권고안 정도로 생각하고 있으며, 향후 피드백을 통해 신성장산업 선정작업을 보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산업은행의 움직임은 올해 초 정부가 발표한 미래 신성장산업 대규모 지원 전략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올 초 정부는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미래 먹거리가 될 신성장산업에 효율적으로 자금을 공급하기 위한 ‘정책금융의 미래 신성장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내놨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신성장산업 금융지원을 담당하는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신용정보원, 중소기업진흥공단, 무역보험공사,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을 모아 신성장 정책금융협의회를 만들었으며, 컨트롤 타워인 신성장정책금융센터를 산업은행 내에 설치했다.

신성장정책금융센터는 6개 정책금융기관의 파견 직원 총 8명으로 구성했으며 수요자인 추천기관(연구원, 산업계)과 정보교환 등에 대한 업무협약 체결을 추진하고, 미래 신성장 공동기준을 마련하는 업무를 맡았다.

더불어 신성장 산업 평가모형, 업종별 세분화 및 서비스업 등 특화모형을 검토하고 신성장 관련 자금집행 관행과 핵심성과지표 개선방향 도출, 교육프로그램 개발도 추진하도록 했다.

신성장산업 지원 후에는 지원실적과 지원체계 개선 현황을 점검하고, 수요자 만족도 조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선정 작업을 통해 미래 신성장 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금융 투자가 본격화 될 것”이라며 “로봇, 핀테크, 곤충산업, 신약 개발 등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산업분야에 적재적소로 투자될 수 있는 신중한 전략을 추진해 혈세가 낭비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