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고령자 전용 주택개조비용 대출 취급
주택연금상품에 업체 리모델링 서비스까지 추가


최근 노인부부 가구나 고령의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고령자가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이하 AIP)’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AIP는 연령, 소득, 능력에 관계없이 자신이 살던 집과 공동체에서 안전하고 자립적으로 살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보통 AIP를 위한 주택 리모델링은 75~80세에 필요성이 가장 커지며 그 비용이 노후자금의 15%나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대형은행들은 이미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주택개조비용 대출을 취급하고 있으며 이 상품에일반 대출 대비 1% 가량 낮은 우대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미즈호은행의 경우 좀 더 직접적으로 주택연금상품인 ‘미즈호 프라임 에이지(Mizuho Prime Age)’ 가입자를 대상으로 주택 리모델링 업체와 제휴해 고령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고령층을 위한 주택 리모델링은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고령자의 주거 내 사고발생 위험을 최소화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보다 더 확장된 개념인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 주목받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하고 거부감 없는 디자인으로 ‘탈연령화’에 대한 고령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대표적으로 영국 ‘Ruby Slipper Solutions’, 일본 ‘SECOM’ 등은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지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주택 리모델링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다.

Ruby Slipper Solutions는 단순 시설 개조뿐 아니라 시공 완료 후 전문요양보호사의 치료 서비스까지 결합된 리모델링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본 홈시큐리티 업체인 SECOM은 부유 고령층을 대상으로 장애 없는 가구 대책, 정리·정돈·수납 서비스 지원 등 주택안전 서비스를 제공해 인기를 끌고 있다.

집 안에서 24시간 고령자의 생활을 모니터링해 의료센터나 가족에게 전송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도 확산되고 있다.

‘PERS(개인응급 응답시스템)’ 또는 ‘텔레케어’라 불리는 이 서비스는 고령자가 손목 밴드나 펜던트의 버튼을 누르면 집안의 자동다이얼 스피커폰으로 연결돼 콜센터로 연락이 간다. 호출을 받은 응답자는 고령자에게 직접 상황을 물어보거나 긴급상황을 가족이나 의료인에게 전달해준다.

또 독거노인의 고독사 방지를 위해 전기 사용 및 온도변화, 청문의 개폐상황 등을 확인해 인터넷으로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도 시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치매나 중풍 등 중증 노인성 질환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을 조절하고 치료하기 위한 원격의료 모니터링 시스템과 제 시간에 약을 복용하도록 돕는 투약시간 알리미 등 헬스케어 지원 서비스도 인기를 끌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인 케어앳핸드(Care at Hand)는 고령자의 병원방문 주기와 횟수를 분석해 재발병률과 입원시기를 자동으로 알려주고 있으며, 일본전자업체 NEC의 ‘파페로’는 기억력이 퇴화하는 노인에게 매일 약 복용시간을 큰 소리로 알려주고 혈압을 체크해준다.

신체뿐만 아닌 정신적으로 약해진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로봇, 사물인터넷 기술이 이용되기도 한다.

일본 다이와하우스의 ‘하루’, 혼다의 ‘보행 어시스트’ 등 보행보조 로봇은 고령자의 신체적 약화를 보완해 주거 내 자립 거주를 지원하고 있으며, 고령자의 정신적 약화로 나타나는 인지기능 및 기분저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갖춘 로봇도 등장했다.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서는 60세 이상 시니어 75.1%가 향후에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장래에 살고 싶은 곳으로 86%가 자기집을 선택했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는 은퇴 후에도 자립을 원하는 고령층이 계속 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금융권도 증가하는 고령고객을 위한 AIP 지원 상품 및 서비스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황원경 연구원은 “국내 금융회사들도 미즈호 은행의 프라임 에이지처럼 금융상품에 주거환경 개선 니즈를 반영해 리모델링 업체와 제휴하는 등 부가서비스를 고민해야 한다”며 “정부에서 질병예방 및 질병발생 후 사후관리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헬스케어 제도 개선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금융권에서도 이를 활용할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