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기업 지원하는 ‘생산적 금융’ 시행 및

가계대출 억제정책으로 기업대출 확대 예상

<대한금융신문=염희선 기자> 2018년 국내은행들이 기업대출에 집중할 전망이다.

가계대출 억제 정책의 시행과 함께 문재인 정부가 ‘생산적 금융’이라는 어젠다를 들고 나오면서 혁신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압력이 높아진 상황이다. 은행들은 이에 대응해 생산적 금융 관련 플랫폼과 신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무술년 새해 경제·금융 수장들은 일제히 혁신기업 성장을 위한 금융사의 지원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업의 신성장동력 발굴과 고용창출을 위한 금융사의 중요성을 피력했고,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혁신기업 성장을 위한 금융사의 역할을 강조했다. 최흥식 금융감독원장 역시 금융사들이 혁신 분야에 대한 적시 자금 공급을 통해 경제 활력에 기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발언들은 정부가 금융정책의 핵심방향으로 정한 ‘생산적 금융’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생산적 금융이란 혁신 중소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정책을 말한다. 금융사들이 가계대출 수익에만 의존하지 않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에 돈을 빌려줘 고용을 창출하고, 경제 활력에 기여하는 장을 만들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정부는 생산적 금융을 위해 4차 산업 분야에 정책금융 지원 규모를 현재 20조원에서 2021년 40조원까지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또한 혁신모험펀드와 연계한 20조원 규모 대출 프로그램 마련, 한국은행 금융중개지원 제도 개편 등 생산적 금융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처럼 대대적인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에 은행은 뒤따를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올해 금리 인상으로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가계부채 관리대책 등 규제로 가계대출의 정체가 예상되면서 기업대출 확대가 수익성 보전의 중요한 열쇠(Key)가 된 탓이다.

산업은행 측은 “대기업의 경우 지난해 침체됐던 설비투자 심리가 올해 소폭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중소기업의 경우 운영자금 필요성 확대,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유동성 확보 목적의 자금보유, 4차 산업혁명 분야 투자 수요 등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빠르게 생산적 금융에 대응한 전략을 펼치는 은행들도 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2일 생산적 금융 실천을 위해 일자리 창출 및 4차 산업의 근간이 되는 산업단지 소재 기업 지원을 위해 총 3조5000억원 규모의 상품 2종을 출시했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두드림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2020년까지 창업, 벤처기업에 총 9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추진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우리은행도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모태펀드, 성장사다리펀드에 500억원 출자하고 500억원 규모 벤처중소기업 펀드를 만들어 지분투자에도 나선다.

은행권이 기존에 시행하고 있는 기술금융도 생산적 금융을 보조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금융은 우수한 기술을 보유했지만 담보나 보증이 없어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력을 담보로 대출을 진행하고, 은행이 직접 투자하기도 한다.

기존 정부부터 시행돼온 기술금융은 생산적 금융과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은행권은 기술금융의 중소기업 보유 기술평가 역량을 확대하고, 심사기준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 증대 전략을 통해 생산적 금융에 기여할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생산적 금융이 핵심 금융정책이 되는 한편, 가계대출의 정체마저 예상되면서 은행들이 기업대출을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를 뛰어넘는 기업대출 증가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