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은행은 물론 전체 금융회사 비리 조사 지시

금융의 생명은 ‘신뢰’ 선제적 해결시 리스크 최소화 가능

<대한금융신문=김승호 편집위원> 2000년 이후 최악의 청년 실업률이란다. 지난해 통계가 9.9%. 체감 실업률은 23% 정도가 된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30~40%가 넘을 것이라고 말한다. 10명중 3~4명이 직장을 구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니 취업의 기회가 박탈당한 금융권의 채용비리에 정부는 물론 시민들의 시선까지 냉담하다. 온난화로 더 추워진 겨울 맹추위가 은행은 물론 금융회사 전반에 불어 닥치게 생긴 것이다. 

지난해 국감에서 불거진 우리은행의 채용비리는 이광구 전 은행장의 퇴임으로 이어졌고, 기각되기는 했지만 검찰은 구속영장까지 청구한 바 있다. 분명한 것은 이광구 전 행장의 퇴임과 재판은 전조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이후 시중은행들에 대한 채용비리를 조사했고, 지난달 말 은행 이름을 밝히진 않았지만 5개 은행의 비리를 검찰에 수사 의뢰한 바 있다. 

지난 해 11월 기자는 본보(2017년 11월13일자 기사 참조)를 통해 채용비리와 관련해 모든 은행의 안녕을 기원한 바 있다. 하지만 더 이상 안녕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른 것 같다. 은행뿐이 아니다. 여타 금융회사들도 처지는 다르지만 같은 상황이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채용비리에 대한 조사를 전 금융권으로 확대하라고 국무회의에서 밝혔기 때문이다.

전수 조사과정을 거치면 더 많은 채용비리가 들춰질 것이다. 양적, 질적으로 더 많은 비리가 드러나게 되면 금융권에 대한 도덕성 시비는 불가피하다. 조사 속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봄바람 불기 시작할 즈음, 금융권은 심한 몸살을 앓게 될 가능성이 높다. 더군다나 이 분위기는 중간에 중단되지 않고 계속 갈 것이다. 규모가 얼마가 됐든 금감원은 있는 그대로를 밝힐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불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용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누군가가 덮자고 한다면 그 사람이나 그 집단은 온전히 그 책임을 져야하는 상황이 된다. 

물론 정부가 지분을 가지지 않은 금융회사의 경우는 비리가 밝혀져도 금감원이 직접 CEO 및 임원을 해임시킬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처벌은 솜방망이가 되지 않겠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하지만 해당 회사의 이사회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속단할 수는 없지만 피해가면 그 만큼 도덕적 비난의 수위만 높이고 말 것이다. 

소나기는 피해갈 수 있다. 비의 끝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풍은 그 에너지가 소멸되기 전까지 피해갈 방법이 없다. 온전히 감당해야 그 끝을 겨우 볼 수 있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 금감원이 밝힌 5개 은행의 경영진들은 고민이 많을 것이다. 전수조사 이후 묻어갈지 아니면, 선제적으로 풀어내고 갈지 좀처럼 모범답안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기업을 중심에 두고 생각한다면 의외로 답은 가까이에 있다. 감당해야할 비난의 무게는 통과의례다. 거치지 않고 갈 방법은 없다. 검찰 수사과정을 거쳐 전체의 윤곽이 드러난 상황에서 받을 비난 및 부정적 평가의 총합과 선제적으로 나설 경우 받을 무게는 분명 차이날 것이다. 피해갈 소나기가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면, 그리고 금융권 전체의 비리로 묻어갈 수 없거나 묻어갈 경우 리스크의 크기가 더 커진다면 완전히 다른 방향에서 사안을 바라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싶다. 금융회사의 생명은 신뢰라는 점에서 더 그렇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