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주기로 등락 반복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 필요

<대한금융신문=강신애 기자> 최근 대북관련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분위기에 편승한 단기적 주식 매매 대응은 자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교보증권 김형률 연구원은 17일 한국거래소에서 ‘한반도 평화무드와 환경변화에 따른 투자 전략’으로 장기적 관점에서의 대응을 제시했다.

이번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열흘 앞으로 다가오며 한반도 평화나 북한의 개혁·개방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늘고 있다.

남북경제협력테마주로는 철도업, 건설업, 시멘트, 해운업, 대북 송전기업 등이 꼽힌다. 남북관계 개선을 가정할 때 흔히 건설·물류·에너지 등 산업재가 최대 수혜 섹터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실제 시장에서는 이러한 기대감이 반영돼 남북경협주가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대표적 수혜주로 꼽히는 현대로템 주가는 최근 두 달 새 15%가량 상승했다.

하지만 이러한 시장 분위기에 대해 단기적 접근은 우려스럽다는 시각이 나온다. 북한의 개혁개방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봐야한다는 것이다.

교보증권 김형률 연구원은 “최근 남북정상회담 성사가 결정된 이후 남북경협주들의 주가가 많이 올라 있다”며 “다만 이는 기업가치의 실제 성장에 따른 것이 아닌 심리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최근 이슈되는 대북 관련 주식의 과거 주가흐름을 살펴보면 심리요인에 따른 급등락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된다는 지적이다.

이어 김 연구원은 “대북테마주는 과거 참여정부 시절에도 정상회담과 근접해 주가가 바짝 올랐다가 오랜 기간 하락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 패턴이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고는 장담하기 어렵다”며 “무엇보다 기업가치 분석은 배제하고 분위기에만 편승해 대북테마주에 단기적 접근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북한이 실제로 개혁·개방을 하거나 남북 간 구체적인 정치·경제협력이 이뤄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개혁개방 과정을 볼 때 사회주의 체제의 시장경제 도입 과정은 최소 50년 이상의 장기 플랜인 셈이다. 실제 중국의 개혁개방은 지난 1979년 부분적 개혁부터 시작해 계획적 상품경제, 사회주의 시장경제 과정을 거쳐, 현재 심화된 개혁추진을 진행 중이다.

김 연구원은 “한반도 경제협력 강화가 단시간 내에 성과를 얻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남북 정상회담 등 평화체제로 가는 일련의 과정을 단기 이벤트 관점에서 평가·접근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편 김 연구원은 북한의 경제개혁에 따른 한반도 新경제지도를 환동해·황해 경제벨트, 접경지역 평화벨트 등 3가지 벨트로 제시했다.

환동해 경제벨트는 관광, 자원, 에너지 중심의 경제벨트이고, 환황해 경제벨트는 남북한 서해안과 중국 환보하이권을 중심으로 첨단 제조업과 물류 중심의 경제벨트를 말한다. 접경지역 평화벨트는 생태·관광·수자원을 활용한 평화 협력지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