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중심 TF, 결론 못 찾고 ‘갈팡질팡’
보험사-손해사정업계 비용문제 두고 대립

<대한금융신문=박영준 기자> 보험사의 손해사정 절차에 대한 공정성 시비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지만 정작 금융당국은 해결책 마련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18일 보험업계 및 손해사정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 및 생명·손해보험협회, 보험사, 한국손해사정사회 등은 태스크포스(TF)를 마련하고 지난 1월부터 손해사정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손해사정은 보험사고 발생에 따른 손해액과 보험금을 평가하는 업무다. 보험사는 손해사정이 끝난 뒤 지급심사를 거쳐 보험금 지급을 결정한다. 보험계약자와 보험사 사이에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손해액 평가가 필수다.

그러나 보험사들이 자신의 입맛에 맞는 손해사정법인만 선택해 보험금을 적게 지급하려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아왔다.

실제로 삼성·한화·교보 등 대형 생명보험사와 삼성·현대·DB·KB 등 대형 손보사 4곳은 손해사정 자회사를 설립, 90%가 넘는 일감을 밀어주고 있다. 보험사와 위탁계약을 맺고 손해사정 업무를 하는 위탁손해사정법인도 결국 보험사에게 일감을 받다보니 공정성 측면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에 TF에서는 보험계약자가 직접 손해사정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논의를 이어왔지만 9개월째 아무런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당초 금융위는 보험업감독규정을 개정, 보험계약자가 보험사의 동의 없이도 손해사정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을 추진했다. 현행 감독규정에서는 보험사가 동의하는 않을 경우 보험계약자가 손해사정사를 선임할 수 없다. 때문에 보험사의 동의 부분을 삭제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보험사가 비용문제를 제기하면서 논의가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위탁손사법인과 보험계약자가 선택하는 독립손해사정사의 보수료 차이 때문이다.

위탁손사법인의 보수료는 지급보험금의 0.6~5.3% 수준인데다 매년 일감을 주는 보험사와 계약으로 결정되다 보니 보수료는 지난 십수년간 동결 상태다. 반면 보험계약자가 선임하는 독립손사는 최소 2배 이상인 5~10%의 보수료를 받는다. 보험사 입장에서는 직접 손해사정사를 선택할 수 없는데도 더 비싼 손해사정 비용을 내야하는 셈이다.

‘손해사정업체 선정 리스팅 제도’ 도입도 사실상 무산됐다. 규모, 매출 등 일정 기준에 따라 손해사정업체 리스트를 정하고 피보험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인데 이번엔 손사업계의 반발이 거셌다.

보험사의 손해사정업무를 위탁받는 위탁손사법인과 피보험자가 따로 선택하는 독립손해사정사 모두 리스팅에 들지 못할 경우 사업이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위탁손사법인에 포함된 손해사정인력만 약 1만5000명인데 절반 이상이 일자리를 잃을 것이란 판단도 작용했다.

상황에 진척이 없자 최근에는 보험사들이 직접 독립손사와 위탁계약을 맺는 방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사와 계약을 맺은 위탁손사와 독립손사를 보험계약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이다.

보험사가 독립손사와 위탁계약을 맺을 경우 보수료 협상에 따라 비용절감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다만 위탁손사법인이나 자회사 손해사정법인처럼 보험사에 직접 일감을 받다보면 다시 공정성 문제에 휘말릴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한 손해사정업계 관계자는 “TF에 참여한 이해당사자간 주장이 확고하다보니 쉽사리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며 “금융당국이 컨트롤타워가 되어 중심을 잡지 못한데다 관련 법안을 발의, 추진하던 국회위원도 정무위를 떠나면서 추진 동력이 약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