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선정 논의 앞두고 연구 용역 발주
지역균형·금융산업 발전 기반 찬반대결 치열

<대한금융신문=염희선 기자> 전라북도가 지역 내 금융산업 발전 계획을 검토한다. 오는 3월 금융위원회의 제3금융중심지 선정 논의를 앞두고 유치 당위성을 마련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한 것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전라북도는 지난 21일 전라북도 금융산업 발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전라북도는 연구용역을 통해 기존 금융중심지인 서울, 부산과 차별화할 수 있는 금융산업 발전방안을 검토하고, 해외 8개 금융중심도시의 필수 인프라를 분석할 계획이다.

눈여겨 볼만한 점은 금융전문인력 확보 방안이다. 현재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경우 전문인력의 이탈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국민연금관리공단은 본사를 전주로 이전하면서 기금운용본부를 중심으로 직원 이탈 문제가 심각했다. 2015년 10명 수준인 퇴사자 수는 전주 이전을 발표한 2016년 30명으로 늘었고, 이전 후인 2017년도 27명이 이탈했다. 따라서 전라북도는 이전 금융공공기관의 인력 이탈 방지를 위해 주거, 교육과 같은 기반시설 마련 및 활성화 방안, 금융전문인력 확보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전라북도는 금융공공기관의 추가 지방 이전 방안도 검토한다. 현재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주요 금융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거론되고 있지만 상당한 반대에 부딪히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은행 노조는 성명을 통해 핵심금융공공기업을 지방으로 이전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고, 은성수 수출입은행장도 완곡한 반대의 뜻을 표명했다. 전라북도 입장에서는 주요 금융공공기관과 여론을 설득하기 위해 유치 정당성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가 된 셈이다.

또한 전라북도는 지방 유치를 위해 추가 지방 이전 공공기관 대상을 선정하고, 유치 전략과 단계별 실행계획도 수립한다. 금융 관련 민간기관과 해외 금융기관 유치 등 협력 네트워크 다변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전라북도 측은 “서울, 부산에 조성된 2개의 금융중심지와 차별화하기 위해 연기금, 농생명 금융을 특화하는 것이 전라북도의 전략”이라며 “이번 용역은 금융위원회의 금융중심지 지정 과정에서 당위성 및 사업성 확보, 실현가능성 검토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공공기관의 전라북도 이전은 정치논리와 지역균형 발전 및 금융산업 발전 논리가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다.

정치논리 측면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전라북도 금융공공기관 이전 방안이 실천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또다른 대통령의 공약인 전라북도 아시아스마트 농생명밸리 구축과 맞물려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목소리도 높다. 금융공공기관 지역 이전, 아시아스마트 농생명밸리 구축이 곧 지역균형발전으로 이어지고 수도권 중심의 경제 구조를 탈피할 수 있다는 논리다.

금융산업 발전과 또다른 정치논리 측면에서는 반대 주장이 거세다.

지난 2009년 제2금융중심지로 지정된 부산도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마당에 제3금융중심지를 선정하면 국가 금융산업 전략이 분산되고, 곧 저해요소로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부산권에서는 제3금융중심지를 만들기보다는 금융공공기관을 추가로 부산에 이전해 제2금융중심지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정부와 정치권 등 이해당사자별 이익에 기반해 금융공공기관을 이전하는 것은 금융산업을 후퇴시키는 것”이라며 “지역균형 발전, 금융산업 발전 등 다양한 시각에서 고려해 금융중심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