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 김범수 리스크 해소돼 자본확충 전망 '장밋빛'
케뱅, 대주주 전환 제동에 증자 납입일 두차례 미뤄

<대한금융신문=문지현 기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자본확충을 위한 대주주 전환 과제를 두고 다른 길을 걷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김범수 리스크 해소로 카카오가 최대주주로 올라설 가능성이 커졌지만, 케이뱅크의 대규모 유상증자는 답보 상태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법제처는 금융위원회에 김범수 카카오 의장을 카카오뱅크 대주주 적격성 심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유권해석을 전달했다. 이에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2심 재판 중인 김 의장은 카카오가 카카오뱅크 대주주로 올라서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됐다.

업계에선 카카오뱅크가 안정적인 자본확충을 받아 본격적으로 사업 확장을 시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카카오는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하기만 하면 언제든 카카오뱅크의 대주주가 되기 위한 증자에 돌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4월 기준 각각 10조368억원, 16조280억원의 여·수신 규모를 달성하며 출범 이후 빠른 성장을 이뤄냈다. 하지만 예대율 관리 측면에서 자본 확충이 절실한 상황이다.

카카오뱅크의 예대율은 지난달 말 63.7%로 작년 말(84%) 대비 20.3%포인트 떨어졌다. 예대율은 예수금보다 대출이 어느 정도인지 보여주는 수치로 높을수록 은행의 자본 활용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카오뱅크는 예대율 100% 이하 유지를 위해 예수금 확보에 총력을 가하는 시중은행과 달리 대출 규모를 늘려 예대율을 높이는 방안을 궁리해왔다. 너무 낮은 예대율을 유지하면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대율을 높이기 위해선 대출액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업계는 이번 유권해석으로 카카오뱅크가 대출상품을 다각화할 수 있는 실탄을 확보했다는 것에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반면 케이뱅크는 상황이 좋지 않다.

케이뱅크는 카카오뱅크 보다 한 발 빠르게 대주주적격성 심사를 진행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KT를 공정거래법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면서 심사가 잠정 중단된 상태다.

당초 케이뱅크는 KT를 최대주주로 등극시키고 5920억원의 유상증자를 진행해 자금을 확충하고자 했으나 실패했다. 지난 5월 의결한 412억원의 유상증자 마저 다음 달로 미뤄졌다.

케이뱅크는 자본금 문제로 일부 대출상품 판매를 중단한 상태라 영업 정상화를 위한 자본확충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대규모 자금확충에 실패한 케이뱅크의 차선책은 최대주주인 우리은행의 대규모 자본확충에 기대는 거다. 우리은행은 케이뱅크의 재무적투자자로서 가장 많은 13.79%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은행을 포함한 케이뱅크 주요 주주사들은 3000억원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이 13.79%에서 29.70%까지 지분율을 늘려 1000억원을 투입하고 NH투자증권과 KT 등 주요 주주들이 2000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안이다.

현재 금융지주회사 관련 규정상 은행이 다른 은행을 자회사로 둘 수 없다. 이 같은 시나리오가 가능해지려면 우리은행의 지주회사인 우리금융지주가 우리은행의 케이뱅크 지분을 사들여 자회사로 편입해야 하지만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은행 계열사로 몸집 불리기를 노리고 있는 우리금융이 번거로운 절차를 감안하고 케이뱅크의 최대주주 책임을 떠맡을 이유가 없어 보인다"라며 "이도 저도 안 되면 새 주주사를 영입하는 방법밖엔 없어 대규모 자본확충은 이른 시일 내 기대하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