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앱 하나로 10개 은행 계좌 조회 및 출금 가능
은행권, 현금성 이벤트·수수료 면제 등 고객 잡기 분주

오픈뱅킹 전면시행(핀테크기업 및 은행)을 앞두고 은행권이 30일부터 시범서비스를 우선 실시한다. (사진=금융위원회)
오픈뱅킹 전면시행(핀테크기업 및 은행)을 앞두고 은행권이 30일부터 시범서비스를 우선 실시한다. (사진=금융위원회)

<대한금융신문=문지현 기자> 내일 오픈뱅킹 서비스 가동을 앞두고 은행권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오픈뱅킹은 그동안 폐쇄적이었던 은행결제망을 외부에 개방하는 제도로, 하나의 앱으로 여러 은행의 금융서비스를 한꺼번에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게 골자다.

오픈뱅킹 서비스 시행에 따른 고객 이탈을 우려한 은행들은 다양한 이벤트와 특화 상품 및 서비스를 기획하며 선제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 장기적으로 은행들은 핀테크 기업과 경쟁을 위해 주 무기인 ‘지점’ 등 대면 채널에까지 오픈뱅킹 활용하며 고객 유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30일 오전 9시부터 은행권에 오픈뱅킹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오픈뱅킹에 참여하는 은행은 총 18곳이지만 이번 시범 서비스에는 농협, 신한, 우리, KEB하나, 기업, 국민, 부산, 제주, 전북, 경남은행 등 총 10곳만 참여한다.

산업, SC제일, 씨티, 수협, 대구, 광주, 케이뱅크, 한국카카오뱅크 등도 준비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오픈뱅킹은 시범 서비스를 거친 후 오는 12월 토스,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 기업에도 전면 개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은행, 핀테크 기업들이 쏟아낸 다양한 앱 중 ‘하나의 앱’을 골라 자신의 모든 은행 계좌를 등록해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은행 혹은 A핀테크 앱에 접속해 별도로 마련한 오픈뱅킹 서비스 존에 B은행, C은행 계좌를 등록하면, A은행 혹은 A핀테크 앱 하나만으로도 B은행, C은행 계좌의 자금 조회 및 출금이체 등을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뿐만 아니라 대출, 자산관리, 금융상품 비교 구매도 가능하다.

시범서비스 참여로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 은행들은 소비자에게 ‘하나의 앱’으로 선택받기 위해 앱 편의성을 개선하고 수수료 면제, 무료 자산관리 서비스, 경품행사 등을 준비하고 있다.

먼저 신한은행은 신한 쏠(SOL) 앱, 모바일 웹, 쏠 글로벌 앱 등 3개 채널에 오픈뱅킹을 적용한다. 풀뱅킹 앱인 쏠(SOL) 메인페이지에 '전체계좌' 메뉴를 누르면 신한은행 계좌와 타행계좌를 이용한 조회 및 출금‧이체가 가능하도록 했다. 은행 계좌 외에 보유하고 있는 카드, 증권, 보험 등 금융자산도 추가해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도록 했으며 무료 재무컨설팅도 제공한다.

또 오픈뱅킹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 25일부터 오픈뱅킹 계좌등록 시 최대 500만원, 자산 추가 시 50만원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내일부터 오픈뱅킹 서비스를 통해 출금이체를 진행한 고객에게 최대 5000원을 지급한다.

KB국민은행은 앱의 경우 KB스타뱅킹과 리브(LiIv), 웹은 개인 인터넷뱅킹에 오픈뱅킹 서비스를 녹였다. 국민은행은 오픈뱅킹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 범위를 늘리고 자산관리, 외환 등으로 서비스 확대를 준비 중이다. 내일부터 오픈뱅킹 계좌등록 등 이용을 유도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우리은행은 풀뱅킹 앱인 우리원(WON)뱅킹 앱에만 오픈뱅킹 서비스를 적용했다. 추후 우리은행 보유 금융 자동화기기(ATM), 지점 등에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우리원뱅킹 메인페이지 상단에 오픈뱅킹 아이콘을 누르거나 '전체메뉴-계좌관리-우리오픈뱅킹' 과정을 통해 오픈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오는 11~12월 중 계좌를 등록하거나 출금이체를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경품을 지급하는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KEB하나은행도 풀뱅킹 앱인 '하나원큐'에만 오픈뱅킹을 도입했다. 오픈뱅킹 서비스를 통해 예·적금에 가입하면 금리우대 혜택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오픈뱅킹 전용상품을 기획하고 있다. 오픈뱅킹 서비스를 활용한 환전연계 서비스 도입도 준비 중이다.

은행들은 핀테크 기업과 경쟁 측면에선 ‘대면 채널’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오픈뱅킹 서비스는 비대면 채널에 한정되지만, 내년께 은행권의 협의를 통해 은행 창구 등 대면 채널로도 확대될 방침이다. 모바일 금융거래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금융약자들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40~50대 고객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송현도 금융혁신과장 “오픈뱅킹 서비스를 대면 채널로 확대하는 방안은 금융위가 요청한 사항이 아니라 일부 은행에서 먼저 이야기를 꺼내왔다”라며 “이 부분에 대해 당국이 특별히 반대할 사항은 없지만, 오픈뱅킹 서비스를 아직 시작하지 않은 은행들이 있어 모든 은행이 준비됐을 때 논의를 거쳐 (대면 채널엔) 내년 초쯤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오픈뱅킹이 대면 채널에도 적용되면 은행들은 창구에 찾아오는 고객의 동의하에 타 은행 계좌를 조회하고 출금이체를 통해 자신들의 은행 계좌로 옮긴 후 기존에 가입했던 상품보다 더 경쟁력 있는 금리의 상품 가입을 유도하는 등의 영업이 가능해진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범 서비스로 은행이 먼저 오픈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만큼 고객을 잡아둘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기획 중이다. 핀테크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에 혁신을 녹여 넣는 게 은행들의 과제"라며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고객 유치 외에도 시중은행의 강점인 지점이나 금융 자동화기기(ATM)를 앞세워 지점 방문율이 높은 40~50대 고객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오픈뱅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