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신용자, 다중채무자 비중 높아
저신용자보다 상환능력 평가 어려워
“저축銀, 신용평가 모델 검증 불완전”

<대한금융신문=하영인 기자> 고금리 대출을 줄이기 위한 정부 정책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이 향후 부실화할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중금리 신용대출은 4등급 이하 중·저신용자 위주로 구성돼 있으며 다중채무자 비중이 높아 내수 부진과 부동산 경기 침체 등에 따른 부실화 위험이 있다”고 언급했다.

중·저신용자가 이용하는 중금리 대출의 특성상 대출금이 생활자금이나 부동산 비용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큰 만큼 내수 경기나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 대출도 부실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중금리 대출은 중간 정도의 신용도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연 평균 16% 금리에 담보 없이 돈을 빌려주는 신용 대출이다.

금융당국은 가계 부채의 급격한 증가를 막고 고금리 대출의 비중을 낮춰 중·저 신용자의 금융비용 부담을 덜고자 지난해 10월부터 제2금융권의 중금리 대출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서 제외하는 등 중금리 대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중금리 대출을 시행하면 저축은행의 경우 개인·중소기업 대한 신용공여액을 150%로 확대 인정해주고 여전사는 본업대비 대출자산 비중을 80%로 축소 반영한다. 신협의 경우 조합원에 대한 중금리 대출은 150%로 확대 인정해준다.

이 같은 정책에 힘입어 금융권의 중금리 대출 취급액은 2017년 3조7378억원에서 이듬해 5조9935억원으로 60.3% 신장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액은 이 기간 8905억원에서 1조7974억원으로 101.8% 정도 올랐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저축은행업계는 2014년 이후 연평균 10%에 달하는 자산 성장세를 보이다가 성장세가 둔화하는 추세”라며 “기존 가계대출 비중이 높았던 저축은행들은 중금리 대출 규제 완화 효과로 당분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제는 저축은행들이 신용 정보가 부족한 계층이나 중·저신용자에 관한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통한 새로운 신용평가 기법을 도입하고 있으나 중금리 신용대출 만기가 대부분 길어 아직 검증이 완전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다.

중·저신용자의 경우 대출을 시도한 기록 자체가 없는 사람이 많아 오히려 다양한 연체 기록이 있는 저신용자보다 상환 능력을 파악하기 어렵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은 경제 상황이 악화할 경우 일시에 부실이 집중될 가능성이 있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이런 점을 고려해 저축은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필요하다면 신용등급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지난 7월부터 금융업권별 중금리 대출의 평균·최고금리 요건을 차등화하면서 하향조정했다.

평균금리는 업권별 비용요인인 조달금리, 부실율, 판매·관리비 등을 감안해 기존 전체 업권 16.5%에서 은행 6.5%, 상호금융 8.5%, 카드사 11%, 캐피탈 14%, 저축은행 16% 등으로 낮췄다. 최고금리는 업권별 평균금리 대비 +3.5%포인트 범위 내에서 허용한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