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조이는 新예대율 규제 도입에도 영업 강화
예대율 위험가중치 확대, 순이자마진 하락세 ‘빨간불’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국내 주요 특수은행들이 안정적 소매여신 위주의 자산 포트폴리오 변화를 꾀하며 가계대출 비중을 끌어올리고 있다. 그러나 시중금리 하락에 의한 순이자마진(NIM) 축소 및 예대율 위험가중치 부담이 동시에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대출영업 전략 판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그동안 기업금융에 치중해왔던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Sh수협은행 등 특수은행들이 리테일(소매)금융 영업을 대폭 강화해 나가고 있다.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지속성장 기반 확보를 위해 여신자산의 균형 성장을 맞추려는 취지다.

은행별 상반기 실적을 살펴보면 기업은행의 올해 6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34조4560억원으로 전년동월(32조1300억원) 보다 7.2% 늘었다. 대형 시중은행의 증가폭(6~7%)과 비슷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농협은행의 경우 98조5073억원에서 108조5331억원으로 10.2% 상승했다. 수협은행은 지난 6월 말 가계대출 잔액으로 12조4988억원을 기록, 전년동월(10조669억원) 보다 무려 24.1% 증가했다.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정책에 반하는 행보다.

이 같은 가계대출 증가세는 은행의 핵심수익원인 이자수익 확대 측면에선 긍정적이지만, 이면에는 상당한 리스크 요인이 충돌한다.

가장 먼저 직면하게 되는 부문은 ‘예대율(예금액 대비 대출액 비율) 규제’ 부담이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가계대출을 억제하고 기업대출은 늘리기 위해 지난 2012년 은행권에 예대율 100% 미만 유지를 권고하는 예대율 규제를 도입했다. 특히 내년 1월부터는 예대율 규제가 더욱 강화돼 적용된다. 신(新)예대율 규제에선 기존 예대율보다 가계대출 가중치가 15%(100→115) 높아진다.

예대율 규제를 어길 시 금융당국으로부터 대출 취급 제한 등의 제재를 받게 되는 만큼, 신 예대율 규제 시행을 앞두고 예대율 기준치인 100%를 밑도는 은행들은 가계대출 증가 속도 관리에 애쓰고 있다.

농협은행과 수협은행 역시 예대율 초과 여부를 민감하게 신경 써야 하는 상황이다.

농협은행의 지난 9월 말 기준 예대율은 87.8%(신 예대율 산정 가중치 적용 시)로 비교적 안정권에 있으나, 저금리기조 장기화로 치열한 예수금 확보 경쟁 분위기 속 가계대출 비중이 큰 폭으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마냥 안심할만한 수치는 아니다.

또 수협중앙회로부터 독립한 지난 2016년부터 예대율 규제 대상에 포함된 수협은행의 예대율은 지난 3월 말 기준 105%에 달한다.

수협은행은 지난 5월 금융위원회에 예대율 규제 추가 유예를 요청한 것이 받아들여져 오는 2021년 11월부터 규제가 적용, 2년의 규제 준비 기간이 남긴했으나 가계여신 규모를 급격히 늘리는 현 추세가 지속된다면 예대율 수치 개선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수협은행 이동빈 행장은 지난 2016년 24.6%에 불과했던 수협은행 가계대출 비중을 올 상반기까지 41.9%로 끌어올렸으며,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의 비율을 5:5로 맞추도록 하는 등 가계대출을 증대하는 방향의 사업 포트폴리오에 여전히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업은행의 경우 예대율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특권을 갖고 있다. 하지만 가계대출 위험 관리 역량 부족에 의한 대출 연체율 상승으로 NIM 하락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키움증권 서영수 연구원은 “그동안 선방했던 기업은행의 NIM이 1분기만에 8bp 하락해 경상적으로는 근래 하락폭이 가장 컸다”며 “예대율 규제가 없고 중금채 발행 특권을 가진 국책은행의 마진이 하락한 원인은 가계대출 경쟁에 뛰어드는 전략 때문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낮은 가계 부문의 성장률을 낮출 경우 마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 대출 전략을 지속한다면 마진 하락 추세가 지속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