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자본시장연구원이 개최한 '행태경제학 관점에서의 금융소비자보호' 토론회에서 자본시장연구원 김준석 연구위원이 발표하고 있다.

<대한금융신문=최성준 기자> 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하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행태적 편의를 유발하는 정보제공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3일 자본시장연구원이 개최한 ‘행태경제학 관점에서의 금융소비자보호’ 토론회에서 자본시장연구원 김준석 연구위원은 “행태경제학에서 인간은 감정·인지·사회적 요인의 영향으로 비합리적 결정인 행태적 편의를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하는데 드는 비용을 고려하면 효용성은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투자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파생결합증권이 가진 구조의 복잡성으로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행태적 편의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의 행태적 편의 예시로는 투자위험의 과소평가, 기대수익률의 과대평가 등을 꼽았다.

투자자들은 기초자산이 추가되면 투자위험이 증가하는데 안전자산이 편입되면 오히려 투자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착각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대수익률을 손실가능성을 포함해 계산하지 않아 이론적 기대수익률보다 높은 수익이 나올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는 이 같은 투자자들의 행태적 편의를 활용해 판매사가 상품구조를 설계하고 판매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S&P500지수 등 상대적 안전자산을 편입해 기초자산이 안전해 보이도록 착각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어 유럽의 경우 금융상품 판매 시 KID(Key Information Document)를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된다고 설명했다. KID는 투자경험이 전혀 없는 투자자도 금융상품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든 설명서다.

마지막으로 그는 “유럽의 경우처럼 판매자와 투자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성을 줄이고 투자자의 행태적 편의를 최소화하는 판매관행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