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이해관계 떠나 장기적 관점에서 흐름 따라야”
반 “30억 투입한 통합전산망 SB톡톡 무용지물 돼”

저축은행업계에 오픈뱅킹 도입 시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들이 이해관계에 따라 상반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대한금융신문=하영인 기자> 금융당국이 내년 상반기부터 오픈뱅킹을 제2금융권으로 확대하는 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저축은행업계 내부적으로 오픈뱅킹 도입에 대한 이견 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는 18일 제1금융권 및 핀테크사들의 오픈뱅킹 전면 시행 이후 저축은행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오픈뱅킹 도입 여부 검토 등 보완 정책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이를 두고 전체 79개 저축은행들은 통합 전산망 사용 여부 및 수도권과 지방 중소형저축은행 등 각자 이해관계에 따라 상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저축은행 간 규모 편차가 크다 보니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달라서다.

현재 SBI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 등 12곳을 제외한 67곳은 저축은행중앙회를 통한 통합 전산망을 활용하고 있다.

통합 전산망 체제는 과거 저축은행 사태 때 전산조작 사건 당시 금융당국이 중앙회 통합전산망을 사용하도록 권고한 이후 지금까지 굳혀져 왔다.

통합 전산망을 사용 중인 일부 저축은행은 각종 제약에 개별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데 아쉬움이 크다. 때문에 오픈뱅킹 도입 시 다양한 채널을 확보하고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금융권의 흐름에 따라야 한다는 견해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오픈뱅킹이 활성화되고 은행, 카드사, 증권 등에 다 도입된 상황에서 저축은행만 제외된다면 이는 공신력의 문제가 될 것”이라며 “당장의 이해관계를 떠나 거시적인 관점에서 업권을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오픈뱅킹 도입을 반대하고 있다. 2금융권으로 오픈뱅킹이 확대될 시 추후 1금융권과 통합될 경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저축은행 모바일 앱이 시중은행 모바일 뱅킹에 종속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업계에 오픈뱅킹을 도입하는 건 시기상조”라며 “저축은행 간 규모 차가 큰 것은 물론 저마다 상황이 현저히 다르다. 지방 저축은행들을 비롯해 대다수 저축은행이 오픈뱅킹에 대한 필요성에 의문을 품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중앙회가 최근 출시한 SB톡톡플러스 제작에 회원사들 회비 30억원을 투여했다. 현재 79개사를 모두 담는 통합플랫폼으로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계속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오픈뱅킹을 도입하면 이러한 노력과 비용이 모두 허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픈뱅킹 도입 시 저축은행 특성상 주거래 은행역할보다는 예‧적금, 대출 등을 이용하는 고객이 주를 이뤄 오픈뱅킹의 필요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견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오픈뱅킹을 위해서는 금융결제원의 금융결제망 사용이 필수다. 저축은행의 경우 특별참가기관 자격을 얻어야 하고 이에 따른 특별참가금을 내야 한다. 업계는 8억원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