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 경기침체에 대출 부실 겹치며 이중고
시중은행 대비 충당금 적고 회사채 발행 어려워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역 경제의 기반인 주요 산업의 업황부진이 예고되면서 시중은행과 지방은행간 건전성 격차가 벌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지방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0.87%로 시중은행(0.44%)보다 2배 가까이 높다.

NPL은 은행이 보유한 총여신 중 회수에 문제가 생긴 여신 보유 수준을 나타내는 수치로,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건전성 지표다.

시중은행의 NPL은 지난 2013년 1.7%를 기록한 이후 매년 빠른 속도로 떨어져 7년 새 74%나 개선됐다. 반면 지방은행 NPL은 지난 2013년(1.4%) 대비 37% 정도 개선되는 데 그쳤다.

지방은행의 건전성 개선이 더딘 주요인은 지역 밀착 영업에 의존하는 특성상 경기침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지방은행은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에 대한 정보 접근성에서 유리해 관계형 금융에서 강점을 보인다. 대출자산 역시 거점 지역에 집중돼 있다 보니 지역경제 전반이 흔들리면 위험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확산 중인 ‘코로나19 사태’가 지방은행의 경영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속출하면서 지방은행들의 익스포져(위험노출액)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말 기준 원화대출 대비 중소기업대출 비중은 지방은행이 57.8%, 시중은행이 37.3%로 지방은행이 20%포인트 이상 높다. 지방은행의 주 고객은 비교적 신용도가 낮은 편에 속하는 지역 소재 중소기업이라 대출 대상의 신용도가 시중은행에 비해 낮은 편이다.

시중은행의 경우 올해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 지난해 대손충당금을 전년 대비 10% 가량 더 쌓아뒀다. 

반면 지난해 말 기준 지방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97.6%로 시중은행(120.6%)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지방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조선, 자동차 등 중후장대산업의 장기 침체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줄어든 영향이다.

자본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 발행도 수요부족 문제에 부딪히며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다.

지방은행 한 관계자는 “지역경기 침체 등 영업환경 악화에도 불구 지방은행의 중요한 역할은 지역 기업에 대한 밀착영영을 통한 관계형 금융이라는 점에 변함없다”며 “이익 강화를 위해 지역민 충성도를 외면하기 보다는 디지털 금융 강화로 소외지역 고객과의 접점을 늘리고 이를 활용한 마케팅 강화, 자산확대로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