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기업 현지서 3차 외국계 은행업 예비인가 취득
미얀마, 제도권 금융기관 이용률 13%…규제도 엄격
MFI 법인 실적도 우하향…“미래수익 위한 투자차원”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금융 황무지’로 꼽히는 미얀마에 국내 은행들이 본격적으로 발을 들이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미얀마 영업기반 구축을 위해 도전했던 소매금융 실적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현지 진출한 국내 기업도 적어 기업금융에서도 당장 가지적 성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은 지난 9일 미얀마 중앙은행으로부터 3차 외국계 은행업 예비인가를 취득했다. 

지난 2016년 9월 미얀마 2차 외국계 은행업 개방 당시 지점설립 인허가를 획득한 신한은행 이후 4년 만의 국내 은행 진출이다.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은 외국계 은행 중 처음으로 미얀마 중앙은행으로부터 현지법인 인가를 받는 데 성공했다. 소매금융을 하지 않는 산업은행의 경우 지점설립 인허가만 받았다.

현지법인 인허가는 외국계 기업 대상 기업금융만 가능한 지점설립 인허가와 달리 외국계 기업과의 거래는 물론, 현지 기업금융과 소매금융까지 가능하고 지점을 10곳까지 설립할 수 있어 현지 은행이 처리하는 업무 대부분을 취급할 수 있다. 

문제는 개발도상국 가운데 가장 취약한 수준으로 평가되는 미얀마의 금융시장 인프라다. 미얀마 진출을 노리는 금융사에 높은 성장잠재력으로 비치는 한편, 극복해야 할 난관이기도 하다.

미얀마 국민의 제도권 금융기관 이용률은 13%에 그친다. 성인 인구 중 은행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비율은 26%에 불과하며 은행에 예금을 둔 인구는 전체의 10%도 못 미친다.

또 미얀마는 은행권 규제가 매우 심해 은행이 간접금융(자금의 흐름을 매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다. 

소매금융은 단기(1년 내) 대출만 가능한 데다 담보 없이는 대출을 아예 실행할 수 없다. 또 외화표시 자산은 담보로 설정이 불가하며 규제 미비로 정부 관련 기관이나 개인에 불법 대출 및 돈세탁이 성행하는 실정이다.

국내 은행들이 미얀마 현지 은행 설립에 앞서 영업기반 구축을 위해 사전에 출범시킨 소액대출(MFI) 법인은 부진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KB국민은행의 미얀마 MFI 법인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1억4800만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3월중 1년치 법인세 납부로 발생한 일회성 비용을 고려해도 큰 적자폭이다.

하나은행의 미얀마 MFI 법인도 지난해 상반기에 전년동기(20억3600만원) 보다 줄어든 15억6200만원의 순익을 내는데 그쳤다. 우리은행의 MIF 법인 역시 지난해 상반기 전년동기(6억4000만원) 대비 하락한 5억8700만원의 순익을 거뒀다.

미얀마에서 전방위적인 은행업을 영위하게 된 은행들은 기업금융 확대에도 주력할 방침이지만 이마저도 상황은 여의치 않다.

현재 미얀마에선 낙후된 금융 인프라로 인해 극히 일부 기업만이 은행을 통해 대출을 실행하고 있으며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 역시 300여개로 규모가 미진해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들의 해외 진출은 당장의 수익을 바라기 보단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장기 투자”라며 “미얀마의 현재 시장 상황이 밝다고 보긴 어려우나, 현지 금융 인프라가 촘촘해지고 한국기업 진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전에 한국 금융사의 기반을 구축해 놓는다는 것에 의미가 더 크다”고 말했다.

한편 미얀마는 인도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신남방지역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5000만명이 넘는 인구와 풍부한 자원을 보유해 중국·베트남을 이을 글로벌 생산기지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