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 비용 확대 전망…“손실흡수능력 유지해야”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은 코로나19 위기로부터 경기회복이 지연될수록 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이 더욱 악화하고, 이는 다시 실물부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진단하며 은행권에서 위기 대응전략을 촘촘히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10일 은행회관에서 진행한 ‘코로나19 위기와 금융권 대응 세미나’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인한 경기부진, 안전자산 선호, 비대면 금융거래 확산 등에 의해 은행권의 비이자이익 감소가 예상되며 하반기 이후에는 대출수요까지 줄어들어 이자이익도 정체 또는 축소되리라 판단했다.

또 경제전망 하향이 기대신용손실에 반영되면서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5월 발표한 ‘2020년 수정 경제전망’에 따라 산출한 기본 시나리오(국내총생산(GDP)증가율 –0.5%) 반영 시 국내 일반은행의 대손비용이 전년 대비 4000억~7000억원 증가, 비관적 시나리오(GDP –1.6%) 적용의 경우 1조~1조5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권의 코로나19 대응전략으로 ▲낮은 수익성이 고착화되지 않도록 개방형 혁신을 통한 신수익원 발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업무 프로세스 고도화 및 비용절감 노력 지속 ▲고객들이 과도한 리스크에 노출되지 않도록 대고객 관리체계 정비 등을 제시했다.

금융당국에도 은행권이 보유하고 있는 잠재리스크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대출 상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탄력적 지원제도 운영, 비대면 산업 중개기능 및 기업금융 지원 강화, 공공 민간 파트너십(PPP·PPublic Private Partnerships) 활용 등 재정 효율화 정책의 추진을 주문했다.

한국금융연구원 임형준 자본시장연구실장은 “경제전망에 대한 높은 불확실성과 금융지원 등 정부 정책이 자산건전성 악화를 예상보다 지연할 가능성 등 대손비용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가 다수 존재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은행들은 양호한 건전성을 토대로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가계와 기업에 적극적인 자금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실물금융의 복합위기로 전이되지 않도록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