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한투·KB·삼성·신한·신영證 마무리 회의
외화 유동성 산정시 자산 범위 확대 방안 거론

<대한금융신문=강신애 기자> 주가연계증권(ELS) 규제안 발표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규제안 중 하나인 ‘발행 총량 규제’는 도입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14일 금융투자협회에서 증권사 사장단들과 비공식 조찬 간담회를 갖고 ELS 규제에 대한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당시 간담회에는 한국투자증권, KB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신영증권 등 5개사가 참석했다. 이들은 자기자본 대비 ELS 발행 비중이 100%를 초과하는 곳들이다. 

ELS 규제안에 논란 중인 발행 총량 규제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닥 잡혔다. 발행 총량 규제는 ELS 발행 한도를 자기자본의 100% 이내로 한정하는 규제를 말한다. 

앞서 지난 3월 코로나(Covid 19) 여파로 ELS 발행액이 높은 증권사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자 금융당국이 마련한 방안 중 하나다.

ELS 유동성 리스크 관리 방안으로 해당 규제안이 거론되자 증권사들은 강력 반발에 나섰다. 

앞서 발생한 유동성 문제는 코로나 사태 여파로 인한 일시적 리스크로 발행 총량 규제시 ELS 발행 잔액 감소가 불가피해 시장 자체를 침체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 해당 규제가 도입되면 일부 증권사는 ELS 발행을 당장 멈춰야 한다. 

전날(15일) 기준 자기자본 대비 ELS 잔액 비중이 100%를 초과하는 증권사는 총 7개사로 신영증권은 해당 비중이 247%로 가장 높다. 이어 삼성증권(166%), KB증권(148%), 한화투자증권(146%), 한국투자증권(130%), 신한금융투자(120%), 하나금융투자(111%) 순이다. 

금융위도 업계의 이러한 의견을 반영해 발행 총량 규제를 ELS 규제안에서 제외키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직접 규제보다는 간접 규제 방식으로 ELS 리스크를 잡겠다는 의도다. 

발행된 ELS 물량 중 자체헤지 비중의 상한제는 도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발행된 ELS 중 자체헤지 잔액 비중이 높은 증권사는 주요지수 급락시 유동성 리스크에 취약해서다. 

앞서 한국신용평가는 세미나를 통해 자기자본 대비 ELS 자체헤지 잔액 비중이 높은 증권사는 유동성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자체헤지 잔액 비중이 높은 증권사는 삼성증권(117%), 한화증권(93%), 한국투자증권(78%), KB증권(53%), 하나금융투자(47%) 등이었다. 이들 증권사들은 유동성 확대나 백투백 헤지를 이용한 위험 분산이 필요하다.

외화 유동성 산정시 산정 가능한 자산 범위 확대도 거론된다. 자산 범위가 확대 시 증권사들 입장선 외화 유동성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신평사 관계자는 “총량규제가 크레딧 입장에서는 나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나 레버리지 규제가 있는 상황에서 총량 규제까지 도입하는 것은 업계 자율성과 발전 가능성을 너무 제약시키는 조치로 여겨진다”며 “다만 문제의 소지가 있었던 만큼 헤지 운용 관련 감독 강화나 외화 유동성 관련 규제 강화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ELS 규제안은 금융위의 마무리 작업을 거쳐 이달 내 발표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