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비율 100% 규제 모든 증권사에 적용
개선된 유동비율 추산 시 평균 10.3%p 감소

<대한금융신문=최성준 기자> 금융당국이 내놓은 파생결합증권(ELS·DLS) 시장 규제로 신영증권, 하나금융투자, 교보증권 등 증권사 3곳에 타격이 예상된다.

유동성 비율 조정을 위한 파생결합증권 발행량이 크게 줄어들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금융당국은 파생결합증권시장 건전화 방안을 발표하고 유동성 비율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연내 제도가 개선되면 앞으로 모든 파생결합증권 발행 증권사는 유동성 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유동성 비율이 100%를 하회하게 되면 금융감독원의 검사를 통해 금융투자업자나 임직원에 대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파생결합증권의 유동부채 산정 방식도 개선된다. 기존에는 최종 만기를 기준으로 잔존만기가 3개월을 초과하는 발행 잔액 중 15%를 유동부채로 산정했으나, 앞으로는 조기상환 시점을 기준으로 잔존만기가 3개월을 초과하는 모든 발행 잔액을 유동부채로 산정한다.

개선된 유동부채 산정 방식에 따라 지난 3월 말 기준 전체 파생결합증권 발행 증권사의 유동성 비율을 추산한 결과, 파생결합증권 발행 증권사 전체의 유동성 비율 평균은 개선 전 126.1%에서 개선 후 115.8%로 10.3%포인트 감소했다.

이 가운데 유동성 비율 규제 기준에 못 미치거나 기준에 근접한 증권사는 교보증권, 신영증권, 하나금융투자 3곳이다.

신영증권과 하나금융투자의 기존 유동성 비율은 128%, 131%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하지만 자기자본대비 높은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으로 변경된 규제 적용 시 유동성 비율은 각각 104%로 급락했다.

유동성 비율 조정을 위해 증권사는 분자인 유동자산을 늘리거나 분모인 유동부채를 축소시켜 대응해야 한다.

다만 기존 유동성 비율이 양호했던 이들 증권사의 경우 유동성 비율 조정을 위해 파생결합증권 발행량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 타 유동부채가 적었던 상황에서 자기자본대비 많은 양의 파생결합증권을 발행했기에 이를 축소할 요인이 크기 때문이다.

교보증권의 경우 변경된 규제 적용 시 유동성 비율이 기존 105%에서 95%로 감소한 수치를 보이며, 100%를 밑돌 전망이다.

새 기준 적용으로 인한 감소폭이 신영증권이나 하나금융투자만큼 크진 않았다. 교보증권의 자기자본 대비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이 92% 수준으로 낮기 때문이다.

삼성증권 전균 연구원은 “유동성 비율 조정 시 다른 유동부채를 줄인다면 파생결합증권 발행량이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며 “다만 기존에 유동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거나 유동부채가 많았던 발행사의 경우 유동성 비율 준수를 위해 파생결합증권 잔액을 축소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한편 유동부채 추산 시 원금 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의 발행 잔액 중 50%를 유동부채로 가정해서 계산했다. ELS·DLS 발행 잔액의 50~100%를 유동부채로 간주할 수 있어서다.

실제 ELS의 경우 통상 3년 만기 6개월 조기상환 구조인 상품이 전체 발행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DLS도 이와 비슷하거나 6개월~1년 이하 단기 상품이 대부분의 발행물량을 차지하고 있다.

원금보장형 파생결합증권(ELB·DLB)의 경우 조기상환이 주로 이뤄지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발행 잔액에서 제외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