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KB·하나·우리, 뉴딜 정책에 110조 규모 자금 투입
“포스트 코로나 대비 단순 지원 아닌 가치 있는 투자”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금융지주들이 ‘한국형 뉴딜’ 정책의 원활한 전개를 위해 돈주머니를 열었다.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차원에서 지난달 발표한 한국형 뉴딜은 디지털경제 확산에 대비하는 디지털 뉴딜, 환경보호 강화에 대비하는 그린 뉴딜, 실업과 양극화에 대응하는 안전망 강화 등 3개 방향을 기반으로 한다.

지난 4일 하나금융지주는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과 디지털 뉴딜 지원을 위한 포괄적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하나금융지주는 포스텍, 카이스트와 다양한 테크핀 분야에서 디지털 금융상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와 투자 병행을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하나금융은 ‘한국판 뉴딜 금융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10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결정한 바 있다. 디지털 인프라 구축사업에 투자하고, 신재생에너지 투자 주선에 집중적으로 참여해 한국판 뉴딜을 실현에 힘을 보탠다는 계획이다.

우리금융지주도 한국판 뉴딜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부터 5년간 디지털 뉴딜에 3조3000억원, 그린 뉴딜 4조5000억원, 안전망 강화 2조2000억원 등 총 10조원 규모의 여신 및 투자를 지원키로 했다.

KB금융지주는 디지털, 친환경 등에 오는 2025년까지 총 9조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신한금융은 ‘금융판 뉴딜’을 목표로 자체추진하는 ‘N.E.O(New Economic growth supporting Operations, 새로운 경제 성장 지원 운영) 프로젝트’를 통해 5년 동안 혁신성장 관련 대출·투자로 85조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지주들은 한국판 뉴딜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부가 강조하는 혁신 기조에 발맞추고 시중 자금에 적절한 투자처 제공, 비생산적인 부문에서 생산적인 부문으로 자금을 배분함에 따른 자원배분의 효율성 증진 등 여러 가지 긍정적 효과가 발생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새로운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우려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뉴딜정책은 중·장기 사업인 데다 리스크가 크고, 강한 공공성으로 인해 수익률이 낮을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와 저금리 장기화 여파로 금융지주의 자본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에서 정부 코드 맞추기에 무리수를 두다간 걷잡을 수 없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금융권의 이번 뉴딜 정책 참여는 코로나19 피해기업 긴급대출,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와 결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그린경제는 금융권에서도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던 부문”이라며 “뉴딜 정책의 성공을 위한 이번 투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단순 금융지원 차원이 아니라 새로운 먹거리 창출에 대한 기대와 정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