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금융신문=이봄 기자> 은퇴 후에도 여유로운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이른바 ‘금(金)퇴족’의 평균 금융자산은 1억2000만원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 보고서를 발간했다. 행복연구센터는 하나은행 AI빅데이터와 30~55세 남성을 대상으로 금퇴족 실제 사례를 찾았다. 소득 수준과 연령대별로 60세부터 기대여명까지 현재 소비지출을 유지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케이스를 추출했다.

금퇴족은 40대 이후부터 드러났다. 40세 이후부터 보유 금융자산이 전체 평균보다 1억원 이상 커지며 다른 사람들과 격차를 벌였다.

금융상품 구성에서도 펀드, 연금, 신탁의 규모가 전체 금융자산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주식비중은 40~44세, 펀드 규모는 45~49세에 절정을 보였다. 펀드를 통해 주식에 투자한 비중을 살펴보면 40대가 15%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으며 같은 연령대 평균(6%)보다 9%포인트 높았다.

금퇴족이 가진 평균 금융자산은 1억2000만원으로 전체 조사대상(9000만원)보다 35% 많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 6000만원 ▲35~39세 1억1000만원 ▲40~44세 2억원 ▲45~49세 3억2000만원 ▲50~55세 3억9000만원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융자산 규모는 커진다.

부동산(주택연금)이 있다면 금퇴족의 범위는 넓어진다.

60세부터 부동산에서 월 65만원(2019년 말 시가 3억1000만원 주택연금 기준)을 확보하면 50~55세 금퇴족의 보유 금융자산이 당장 3억9000만원에서 2억2000만원으로 하락한다.

부동산 현금흐름은 주식투자비중도 낮췄다. 부동산 현금흐름 고려 시 40~44세의 주식투자 비중도 15%에서 8%로 하락하는 등 부동산 현금흐름은 금퇴족의 문턱을 떨어트렸다.

현재 소득수준에 따라 금퇴족의 모습도 달라졌다. 50~55세 금퇴족 평균 금융자산은 소득수준에 따라 ▲1억5000만원(월 300만원 미만) ▲3억1000만원(월 300만~500만원) ▲5억1000만원(500만~800만원) ▲10억6000만원(800만원 이상)까지 차이를 보였다.

조용준 행복연구센터장은 “은퇴에 가까운 50~55세 금퇴족은 평균 월 298만원의 생활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의 평균 소득은 월 511만원으로 같은 연령대 임금근로자 평균보다 월 69만원 많다”며 “40대 초반까지 금퇴족이 될 기반을 마련하는 게 이상적이며 연금자산을 지키고 금융투자를 실행하는 게 가장 기본적이고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