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취약계층 문제에 ‘사용법 익히면 된다’
日·獨, 은행대리업 제도로 비용 절감·편의성↑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비대면거래가 확산하면서 은행의 점포 폐쇄가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점포망 축소는 은행에 있어 금융의 디지털화가 확대되는 시대적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생존전략이나,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적 금융 해결책이 비약해 절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점포수는 지난 2015년말 7281개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6592개로 689개(9.46%) 줄었는데, 올해 들어 117개의 점포가 폐쇄되는 등 최근 은행 점포망이 매우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지난 2016년 말 4만3710개였던 전체 은행 금융자동화기기(ATM)은 지난 7월 기준으로 3만5494개로 줄어 3년여 만에 19%(8261개)나 감소했다.

은행들이 점포를 줄이는 이유는 비대면 채널 강화로 이용 고객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점포 1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임대보증금, 청소비, 관리비, 임대료 등 매달 수천만~수억원의 비용이 든다. 비용대비 저수익 점포는 폐쇄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문화가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적자 점포가 우후죽순 늘고 있다고 토로한다.

그러나 은행들이 수익성만을 쫓아 점포 폐쇄를 가속하면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과 농어촌 지역 등 금융서비스 과소제공 지역의 금융 소외 현상이 심화하고, 고용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은행연합회는 포용적 금융차원에서 적정 수의 점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점포 폐쇄 공동절차’를 마련하고 이동점포·ATM·점포제휴 등 대체수단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지만, 세부 기준은 각 은행이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또 당국과 협의, 행정지도 등 강제성을 띠지 않아 은행이 준수할 의무도 없다.

은행들은 디지털 점포(무인점포), 디지털 키오스크와 같은 고기능 무인자동화기기(STM) 등을 통해 점포 폐쇄에 따른 고객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으나 디지털 취약계층과 금융지역 소외계층이 해당 기기 사용법을 익히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실효성은 의문시된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기준 60대 이상의 인터넷은행 이용률은 1.5%에 불과하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대기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 취약계층과 취약지역을 위한 적정 수의 점포가 유지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점포를 부득이한 이유로 폐쇄해야 할 경우 은행들이 지역을 순차적으로 정하는 공동대응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19 이후 일본, 독일 등에선 공동점포 운영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며 “은행간 공동점포뿐만 아니라 은행대리업제도를 도입해 유통업체와 통신판매점 등 비금융기관을 점포로 활용하는 등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고객 편의성을 지키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