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펀딩 양태영 대표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P2P(개인간거래)금융은 지난 2014년 국내 시장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핀테크 바람을 타고 중금리 대출·투자시장을 확대할 ‘혁신금융’으로 주목받으며 성장을 지속, 지난 7월 기준 10조원 규모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고속성장의 부작용일까. 시장 규모가 커짐과 동시에 부실 징조가 나타났다. 지난 2018년을 기점으로 P2P금융 연체율은 10%대로 올랐고,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부동산 시장 위축 등 여파로 16%를 넘어서기도 했다.

P2P시장에 대한 투자자 신뢰가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테라펀딩 양태영 대표(사진)는 현명한 P2P 투자를 위해 기억해야 할 두 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양 대표는 “은행, 저축은행, 캐피탈 등 보다 P2P시장의 연체율이 높은 건 사실이나, 업권별 특성에 맞춰 다른 측면으로 건전성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여타 금융사와 같이 연체 발생 시 부실채권을 매각하면 연체율을 쉽게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차입자와 투자자를 직접 연결하는 업권 특성상 장기 성장을 위해 연체율보다 중요한 건 손실 관리”라며 “업체별 역량을 나타내는 지표는 대출 취급액 대비 부실률”이라고 말했다.

양 대표는 “총 10억원 규모의 대출 중 5억 규모의 연체 1건이 발생하면 연체율은 50%다. 이 채권을 원금의 20% 수준으로 매각하면 연체율은 0%가 된다”며 “그러나 결과적으로 10억원 대출에서 총 4억원의 원금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에 손실률은 40%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표면적인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것보단 상환 지연이 발생하더라도 직접채권추심을 통한 채권 회수를 지향하고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게 중요하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테라펀딩은 설립 이래 총 1524건의 중금리 대출을 취급해왔고, 그중 3.8%인 54건의 대출에서 연체가 발생했다.

테라펀딩은 부실채권 매각을 최소화하고 채권 추심 역량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으며, 연체 채권 30건을 원금 손실 없이 전액 회수, 투자금 100% 상환에 성공했다.

현재 잔여 연체 채권은 총 15건으로, 당분간 부동산 신규 대출을 축소하고 회수 가능한 연체 채권 회수에 집중할 방침이다.

테라펀딩 창업 이래 지난 5년간 발생한 손실 채권은 총대출 1524건 중 9건(0.59%)이며 지난 9월 기준 원금손실률은 0.74%다.

아울러 양 대표는 손실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분산투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양 대표는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차입자는 10% 이상의 고금리로 P2P금융을 이용한다. 금리가 높은 만큼 잠재된 부실 위험이 높기 때문에 안정적인 투자성향을 갖고 있다면 금리가 낮은 상품으로 다수의 상품에 소액 분산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조언했다.

테라펀딩의 고객 1인당 평균 투자액은 60만원으로, 평균 7.7개 상품에 소액 분산투자 중이며 재투자 비율은 65.8%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양 대표는 “P2P금융은 제도권에서 소외된 이들을 대상으로 중금리 대출을 취급하며 성장해왔고, 내재된 리스크를 헷지하고자 관리 및 추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며 “앞으로도 금융소비자 보호와 이익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