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보험연구원)
(제공=보험연구원)

<대한금융신문=문지현 기자> 보험사 경영진의 중장기적 관점의 가치 경영을 독려하려면 이들의 성과와 보수의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들의 보수 체계는 미국과 달리 성과가 좋지 않아도 고액 연봉을 받아 갈 수 있으며, 장기손익을 고려하지 않고 단기성과에 매몰되기 쉬운 구조다.

16일 보험연구원이 발간한 ‘보험회사 경영자에 대한 보상체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보험사 임원의 총보수 중 기본급의 비중은 68%로 나타났다.

나머지 성과보수 가운데 즉시 주지 않고 3년간 나눠 이연 지급하는 비율은 50%로 총보수의 16%에 그쳤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년간 보험사 임원 보수를 모두 반영하면 기본급 64%, 단기 성과급 19%, 장기(이연 지급) 성과급 17% 구조로 분석됐다.

이러한 구조는 장기 성과급 비중이 높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금융시장과 대조된다.

지난 2008∼2018년 미국 보험회사 경영자 보상은 장기 성과급 73%, 기본급 16%, 단기 성과급 5%, 기타 6%로 구성됐다.

연구진이 국내 보험사 경영진의 성과보수 비중과 회사의 3년 후 수익성·기업가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과보수 비중이 높을수록 회사의 수익성과 기업가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보험연구원은 보험사의 경영자 보상에서 성과보수 비중을 높여 보수와 성과 사이 상관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과보수에서 주식보상(스톡옵션, 양도제한조건부 주식 등)의 비중을 늘려 경영자들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경영자의 단기적 실적 추구나 과도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성과보수에서 이연지급의 비중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상용 연구위원은 “수십년짜리 장기 상품을 다수 취급하는 보험사의 경영진이 단기 실적에 매몰돼 위험이 큰 전략을 구사하기보다는 장기 손익 개선에 노력하도록 보상체계가 설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