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수익 감소분 채우려 임대업 주목
“공실률 상승에 따른 부실화 가능성 높아”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상업용 부동산의 대출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에도 대출 증가세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은행들은 건전성 관리보다 가계대출 규제강화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분 메우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국내은행의 기업대출금 중 부동산·임대업 대출 잔액은 209조7494억원에 달한다.

지난 2018년 9월말 174조5124억원, 2019년 3월말 181조23억원, 2019년 9월말 191조3070억원, 지난해 3월말 198조295억원으로 매 분기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은행들은 저금리 장기화와 시중 유동성 증가, 주택 시장 규제 강화 등으로 상업용 부동산 투자 수요가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올해는 특히 코로나19로 국가 간 이동 제한이 길어지면서 해외 부동산 투자자금까지 국내 시장에 대거 유입됐다.

문제는 차주의 임대 소득 저하로 인한 대출 상환 불확실성이 동시에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전년 동기보다 0.9%포인트 상승한 12.4%를 기록했다.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의 경우 8.5%로 집계됐다. 이태원 공실률이 24.9%로 가장 높았으며 불황이 없다는 강남대로조차 공실률이 16.4%에 달했다.

상업용 부동산의 평균 매매가격 상승 폭 역시 코로나19가 창궐한 지난해 2.8%로 둔화했다. 지난 2015년 이후 연평균 상승률 9%에서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이런 분위기에 한국은행은 상업용 부동산 대출 건전성 악화에 대한 경고장을 일찌감치 날렸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상반기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침체 진입기와 유사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향후 1년간 20% 하락하고, 임대소득 수익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시 하락 폭의 두 배 정도 내리면 금융기관에서 약 2조6000억원의 대손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한다고 추정했다.

또 상업용 부동산 대출은 부실채권 발생 시 주택담보대출보다 회수 가능 금액이 크게 낮아질 수 있어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상업용 부동산 대출 중 일시상환대출 비중은 지난해 6월말 기준 86.9%로 매우 높은 수준(주택담보대출 38.5%)이다.

3년 미만 단기대출(49.6%), 변동금리 대출(58.7%)의 비중도 큰 편이며 4~6등급의 중신용 차주 비중(56.9%)이 절반 이상인 점도 경제여건 변화 시 건전성 악화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공실률 상승으로 상업용 부동산 투자수익률이 하락하고 있다. 여러 전문기관에서 시장 침체로 인한 대출 건전성 우려를 표하고 있지만 은행의 취급 기세가 여전히 매섭다”며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규제에 따른 수익 악화를 상쇄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기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담보가 있는 상업용 부동산 대출은 연체율이 낮고 저금리로 이자부담이 크지 않아 위험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적지만,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