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헬스케어 서비스 연계로 개인맞춤 서비스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대한금융신문=박진혁 기자> 금융위원회는 건강 데이터와 금융 데이터 융합을 촉진하고 디지털 헬스기기 사용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4일 밝혔다.

회의에서 서울대 건강금융연구센터는 보험업계가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ICT 기술진보와 데이터 중요성 증대 △의료비 증가와 국가 재정부담 △제도적 변화 등 새로운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다고 평가했다.

디지털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 전략으로는 개인화, 고객관리, 융합 3가지 방향성을 꼽았다.

연구센터 관계자는 “개인의 건강기록 생활습관 등의 데이터로 맞춤형 건강관리와 보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며 “웨어러블 기기 등 고객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보험업계가 고객 네트워크와 자본력을 활용해 헬스케어 생태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의 선도 보험사들은 헬스케어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인수·합병 등을 통해 보험-헬스케어 융합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국내에서는 보험사 간 서비스 차별성 부재 등으로 인해 보험업권의 헬스케어 진출이 제한적이었다.

연구센터 관계자는 “보험사의 헬스케어 참여는 단순히 보험사의 손해율 관리와 신사업 진출의 의미에서 그치지 않는다”며 “국민의료비 지출 효율화와 국가적 성장동력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정 KPG는 헬스케어 산업이 △고객 니즈 변화 △산업 영역 확대 △규제 혁신의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의료비 부담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힐링, 웰니스 산업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

지난 2019년 비의료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마련과 지난해 2월 데이터 3법 개정 등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이 추진됐다.

보험사의 헬스케어 진출과 관련해 삼정 KPG 관계자는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건강자산과 금융자산의 결합·분석이 중요하다”며 “헬스케어 산업은 대표적 융합산업인 만큼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TF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자문단과 워킹그룹으로 구분해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추진하겠다”며 “보험회사의 헬스케어 자회사 소유, 행정정보 공동이용망 활용 등 기존 발표과제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