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일률적 규제 영향
지방 저축銀, 인수합병에 관심

<대한금융신문=박진혁 기자> 수도권 저축은행의 여신 규모가 전체의 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저축은행간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전체 저축은행 여신 77조4754억원 중 서울·경기권 여신규모(65조738억원)는 83.9%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신규모(44조8817억원)도 전체 79조1764억원 가운데 서울·경기권이 절반 이상인 56.6%다.

전체 79개의 저축은행 중 42개사가 수도권에 위치해있다는 것을 감안해도 큰 격차다.

예금보험공사가 발표한 지난해 3분기 지역별 저축은행 평균 순이익은 △서울 282억원 △경기·인천 120억원 △부산·울산·경남 54억원 △대전·충청 42억원 △광주·전라 37억원 △대구·경북·강원 14억원이다.

업계는 양극화 현상의 원인으로 코로나19 장기화와 정부의 일률적 규제 등을 꼽는다.

지방 저축은행들은 지역의 고객과 기업을 대상으로 여·수신을 관리해 얻는 이익을 주 수익원으로 한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지역경제 불황이 지속되고 비대면 영업이 활성화되면서 지역 고객의 이동이 본격화됐다. 대형 저축은행들이 디지털 전환과 광고 등으로 고객접점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업계는 예보료율과 예대율 규제 등 금융당국의 규제가 저축은행의 규모와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도 문제로 보고 있다. 같은 규제를 적용받더라도 지방의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자본 운용에 제약이 크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대형 저축은행이 수도권에 몰려있어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며 “지역 경기 침체가 심해지면서 성장 동력이 떨어진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방의 중·소 저축은행의 자본 건전성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지역별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평균은 각각 △서울 3.1%, 4.4% △경기·인천 4.2%, 4.6% △대전·충청 6.6%, 7.0% △대구·경북·강원 5.9%, 5.9% △광주·전라 6.3%, 6.9% △부산·울산·경남 4.5%, 4.7%를 기록했다.

지방 저축은행은 무리한 신규대출이나 사업확장보다 리스크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역 경제 악화로 기업 대출이 위축되고 코로나19로 인해 차주의 상환 능력이 저하됐기 때문이다.

금융당국도 저축은행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자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금융위는 비 서울지역 저축은행간 인수합병(M&A)을 허용할 계획이다. 영업 구역은 최대 2개까지 확대되며 영업 구역 내에서 총 여신의 40%를 취급해야 한다. 지점설치 규제도 기존 인가제에서 사전 신고제로 완화된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인수합병 규제완화 발표 이후 지방 저축은행 사이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실제로 인수합병이 성사된다면 영업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