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운용·회계처리 각각

리스크측면 통합 운용 필요

 

파생상품 회계기준 관련 증권사간 기준점이 모호해 재무관리의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주로 주가연계증권(ELS, Equity-Linked Securities)에서 발생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증권사의 트레이딩하는 방법은 각 ELS 상품에 대해 회계정리를 하는 방법과 기초자산이 비슷한 ELS상품을 통합운용하는 방법을 주로 쓰고 있다.

이에따라 ELS 상품에 대해 회계정리를 할 경우 일일이 재무관리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초자산을 통합관리할 경우 자금흐름의 투명성이 결여될 수 있다.

이는 각 증권사가 파생상품을 관리하는 리스크 측정방법과 트레이딩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SK증권 장외파생상품팀 송방준 과장은 자체 파생상품 운용을 전제로 한 뒤 "각 파생상품에 대해 꼬리표를 달아 재무관리를 하는 방법은 자금흐름을 알 수 있으나 주식편입 비중에 따른 거래비용이 발생해 운용은 물론 재무관리에서도 비효율적인 측면이 발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기초자산이 비슷한 종목에 한해 운용 할 경우 거래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회계상 자금흐름이 남겨있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즉 삼성전자 주식의 경우 대부분 ELS상품 기초자산으로 잡혀 있어 70억원을 사야 되는 상황에서 상품간의 매수, 매도 수량 차이로 인해 그보다 적은 금액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주식거래 비용을 아낄 수 있으나 파생상품 운용내역이 재무재표상에 생략될 수 있으며 회계상 다른 곳으로 편입될 소지가 있다.

이에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인가때 리스크 관리능력 및 시스템 확인을 반드시 거친다"며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한도범위내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회계처리과정에서 각 개별 자금흐름은 완벽하게 파악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회계처리 기준안에 따르면 ELS발행시에는 매도신종증권으로 처리하고 ELS발행가격 중 프리미엄 부문은 ELS발행가격에서 분리해 발행시점에서 수익(신종증권판매수수료)으로 인식한다.

결산일에는 공정가액으로 평가해 평가결과를 당기손익에 반영(매도신종증권평가손익)하고 ELS만기도래시 상환으로 발생하는 손익을 당기손익에 반영(매도신종증권상환손익)한다.

한편 국내증권사가 발행하는 ELS 상품 중 70~90%를 외국계 증권사에서 사오는 실정인데 ELS상품은 자체 설계 및 운용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대해 전문가들은 전문인력 및 내부역량 부족을 지적한 바 있다.

<車振炯 기자>jin@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