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내 전문대학원이 유일

정부-감독당국 재정 지원 절실

 

글로벌 뱅크 육성을 위해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는 전문인력 확충의 길이 비좁기만 하다. 시중은행이 IB 사업단 재편 등에 나서고 있지만 정부, 업계 모두 필요한 IB전문인력, 부족한 수급에 대한 정확한 통계조차 갖고 있지 않는 것이 국내 금융권 현실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금융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곳은 지난해 2월 개원한 카이스트 금융전문대학원(2년 과정)이 거의 유일하다.

이 금융전문대학원은 카이스트가 10년간 운영해온 금융공학 프로그램을 재정경제부 지원으로 확대 개편해 설립한 것이다.

이 외에 고려대(1년 과정), 서울종합과학대(1년6개월 과정) 등에서 경영대학원 산하 금융MBA과정을 개설하고 있을 뿐이다.

그나마 이제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 단계이며 그 숫자 역시 카이스트 금융전문대학원 100명, 고려대 30명, 서울종합과학대 35명 등으로 국내 수요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다.

이처럼 국내 금융권이 전문인력 가뭄에 허덕이는 이유는 이들이 그동안 인재양성을 위한 투자에 인색했던 탓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실상 국내 금융권은 자체적인 인재양성에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그동안 시중 금융권이 지나친 경쟁으로 몸집 부풀리기에만 치중했을 뿐 내실을 다지려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금융연구원 하준경 연구원도 "현 금융권의 조직문화나 부족한 리스크 관리 능력으로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며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지적했다.

하 연구원은 "앞으로 금융권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국내 우수한 인재들의 해외유학을 적극 지원하거나 역으로 외국의 유능한 인재를 스카우트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인재육성이 국내 금융권만의 문제가 아닌 정부의 태도에도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자통법 등이 통과된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정책은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3개의 대학 중 정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곳은 카이스트 뿐이다. 그나마 2009년까지 제한적으로 운영비를 지원한다.

재정경제부 한 관계자는 "외국의 경우도 기관에 대한 지원은 기반을 닦는 기간 동안에만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그 이후에는 기금유치 및 등록금으로 운영한다"고 말했다.

현재 금융전문대학원 1년차 등록금은 4800만원, 2년차 봄학기에 떠나는 해외연수 비용까지 합하면 연간 5000~6000만원을 훌쩍 넘는다.

학생 스스로 비용을 들여 공부를 하는 비율이 절반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학비부담을 경감시켜줄 금융권과 정부의 지원책이 절실하다.

<李周石 기자>moozee@kbanker.co.kr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