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융투자 이경수 투자전략팀장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고 했던가.

지난 13일 개최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3차 양적완화정책(이하 QE3) 시행을 결정했다.

예상보다 빠른 시기이다. 필자는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로 예상했었다.

다음 두 가지 관점에서 예상은 빗나갔다.

첫째, 물가보다 고용을 중요한 변수로 판단했지만 고용을 보는 ‘기준’이 달랐다.

우리는 비농가 취업자수를 기준으로 삼았다.

비농가 취업자수는 고용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정책시행의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같은 기준으로 볼 때 현재의 고용상황은 QE1, 2 직전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따라서 QE3 가능성은 높지만 당장 9월에 시행될 가능성은 확률적으로 낮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버냉키는 최대고용을 외치며 실업률을 근거로 들었다. 현재 8%대의 높은 실업률 하락을 위해 추가 양적완화가 필요하다는 논리다.

매우 정석적인 얘기다.

문제는 8%대 실업률이 무려 43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수치라는 점이다. 최근에 8%대로 올라선 것도 아니고 실업률이 다시 올라가고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

8%대의 실업률로 QE3를 해야한다는 논리에는 문제가 없지만 지금이 시행 ‘적기’라는 이유로 들기에는 설득력이 약해 보인다. 연준이 실업률을 정책시행 근거로 계속 제시한다면 고백하건대 필자는 앞으로도 정책 시기를 예측해낼 자신이 없을 것 같다.

둘째, QE3 정책 내용이 예상과 달랐다.

QE3가 ‘MBS(주택저당증권)+국채’ 조합으로 시행될 가능성을 높다고 예상했었다.

국채 매입을 고려하면 재정절벽 합의 이후가 합리적인 시기로 봤던 것이다.

버냉키는 줄곧 ‘정부가 적자재정을 가져가면 국채를 발행할 때 양적완화를 통해 매입해 주겠다’는 입장을 펼쳐왔기 때문이다.

정부의 국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쉬워지고 이자율이 올라가는 구축효과를 제거해 주기 위해서다.

지난 두번의 QE 때도 재정지출 확대와 연준 자산 내 국채 비중이 같이 증가하며 공조했던 사례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연준은 이번 QE3에 일단 MBS매입 카드만을 꺼내들었다.

그렇다면 굳이 재정절벽 합의 이후로 QE3를 미룰 이유가 없고 기존 입장에 배치되지도 않는 셈이다.

필자의 머리로는 MBS만 매입하는 버냉키의 묘수를 전혀 따라가지 못했다.

필자의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갔지만 버냉키는 과연 ‘대공황 전문가’다운 면모를 보였다. 경기가 개선되기 위해선 흔들림 없는 지속적인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신념을 추구한 것이다.

또한 대선 이후 결과에 따라 껄끄러워질 수 있는 정책시행을 의식해 선제적 대응을 통한 정책 효과의 극대화를 노렸을 수도 있다.

이러한 버냉키의 신념은 자산시장으로 투영될 것이다.

국내 주식시장도 여기서 추가 상승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계량적으로 어디까지 상승할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한다. 유럽과 미국, 그리고 최근 일본까지 주요국 정책공조로 인해 우리가 보는 금융스트레스 지수는 2010년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다.

향후 주식시장은 이를 반영하는 적정주가 수준을 찾아가는 과정이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 금융스트레스 수준에서의 적정주가는 코스피 2180선으로 계산된다.

현 주가수준에서 최대 9%의 상승여력을 기대할 수 있다. QE3효과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보다 지금은 알파 상승을 즐겨야 할 시점이다.

주식투자자가 정책에 맞설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후 후유증은 그때 가서 대응하면 된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