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자산건전성 악화

모디 신정부 출범, 적극 추진

<대한금융신문=전선형 기자> 인도 신정부가 국유은행에 대한 대대적인 체질개선을 이룰 계획이다. 그동안 경기침체로 자산건전성이 크게 악화된 인도 은행산업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부실비중 85%로 위험 상태
지난 5월 인도는 제1야당인 BJP(인도국민당)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가 총리로 당선되면서 10년 만의 정권 교체를 이뤘다. 특히 30년 만의 단독정부 구성으로 그 의미를 더했다.

모디 정부의 출범은 인도 내 경제혁신의 바람을 몰고 왔다. 실제 인도 내외부에서 전반적인 경제개혁과 동시에 은행산업 관련 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점치고 나섰다.

현재 인도는 2010년 이후 GDP 성장률이 크게 하락하면서 물가상승, 내수부진, 경상적자 등의 경기침체로 은행산업이 부실에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유은행의 자산건전성이 크게 악화됐다. 국유은행이 은행업계 전체 자산의 3/4을 차지할 만큼 규모가 크다.

인도 중앙은행에 따르면 은행산업의 부실자산 비율이 2011년 3월 2.3%에서 2013년 9월 말 4.2%까지 상승했다. 또 2013년 기준 은행산업의 부실자산 중 국유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대비 10% 포인트 상승한 85%이며 같은 기간 민간은행의 비중은 14%에서 8%로 하락했다.

◆민영화 등 대대적 은행산업 개혁
이같은 국유은행의 증가하는 부실을 막고자 인도 신정부는 이들의 체질개선을 위해 민영화 등 개혁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인도 금융당국은 국유은행의 부실 원인을 비효율적 지배 구조, 부실한 여신관리 및 정보시스템 등으로 파악하고 개선 조치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국유은행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정부지분을 50% 미만으로 축소하는 등 지배구조 변화를 통해 운영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다만 국유은행이 바젤Ⅲ의 자기자본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본 확충이 절실하지만 투자자들의 부정적인 인식 등으로 자본조달에 어려움이 상충하고 있다.

현재 인도 은행이 바젤Ⅲ의 자기자본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약 5조루피 정도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향후 국유은행은 민영화 등을 통해 운영·관리·보상체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등 체질개선에 성공해야 자본확충도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내 전문가들은 국내 은행들도 인도의 은행산업 개혁에 대응해 중장기 전략 하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실제 최근 인도 신정부의 국유은행 민영화 등 개혁조치로 성장 잠재력 높은 인도금융시장에 대한 해외 은행권의 관심이 확대되는 추세다.

앞으로 인도 정부는 지속적인 외국인 투자 관련 정책 개선을 통한 자금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국내 은행의 인도시장 진출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인도 은행산업의 개혁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중장기 전략 하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인도는 외국계은행의 진출 시 현지법인 형태를 선호하나 지점

개설은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일정비율의 대출의무조항을 규정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이 있으니 신중한 결정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