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그리스 등 대외위험 및 달러화 강세, 노동시장 영향

<대한금융신문=김미리내 기자> 오는 9월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좁혀지고 있는 가운데, 기준금리 상승폭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주목된다.

국제금융센터 뉴욕사무소가 월스트리트 분석을 조사한데 따르면 대부분 오는 9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지만 기준금리 인상폭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밴가드(Vanguard) 조 데이비스(Joe Davis) 이코노미스트는 “금리인상은 매우 완만하게 진행될 것이며 예상보다 낮은 수준에서 멈출 가능성이 있다”며 “금리인상 전망에도 불구하고 낮은 물가상승률로 인해 미 국채금리(10년물)는 2.0~2.5% 수준에서 횡보하며 큰 폭으로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는 “향후 기준금리는 1.0% 이상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기준금리를 1% 이상으로 인상할 필요가 없어 보이기 때문이며 1% 혹은 그 이하의 수준에 도달하면 멈출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향후 달러화 강세가 심화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성장률이 둔화될 경우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추가금리 인상을 제약하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연준의 정책 이외에도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외위험요인, 즉 중국?그리스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연준은 인상폭 조절을 통해 달러 강세의 부작용을 완화할 것이며 수년간 지속된 저금리 상황에서 이 같은 금리인상은 비전통적 통화정책의 종료를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에버코어ISI 딕 리페(Dick Rippe) 역시 “1분기 성장률 부진(-0.2%)의 영향이 예상보다 컸으나 2~4분기 견조한 성장으로 연준이 9월 금리인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러나 경기회복 속도가 빠르지 않고 통화정책 정상화에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인상폭은 크지 않을 것이며, 2016년 말 기준금리가 1.50~1.75%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9월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해 기준금리가 0.25~0.50% 범위에 진입하고, 이어 12월 한차례 더 인상이 추진돼 0.50~0.75% 수준으로 진입, 2016년 말에는 1.50~1.75% 수준에 근접할 것이라는 것.

그는 “연준이 자산매각 방식이 아닌 보유자산 재투자 비율의 조정(75→50→25%)을 통해 금리인상 개시 6개월 이후부터 자산규모 축소에 돌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JP모건 체이스 이코노미스트 카스만(Bruce Kasman)과 페롤리(Michael Feroli)는 “향후 2.5%대 성장률을 지속할 경우 향후 2년간 3% 수준으로 금리가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처음에는 신중한 태도로 금리인상을 시작하겠지만 향후 미국 경제가 정상 궤도에 오른다면 인상 속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들은 “소매업 호조, 일시적 고용 증가 등 민간 서비스 부문의 강한 개선세에 힘입어 미국은 견조한 성장 모멘텀을 지속할 것”이라며 “단, 노동시장은 구직포기자 증가 등으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며 현재 유휴노동력이 얼마나 존재하는지 불확실한 점은 부정적”이라고 꼽았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