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주식시장 반등, 국재금리 하락세 멈춰
영국의 EU 탈퇴 과정서 간헐적 충격 예상

<대한금융신문=김민수 기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브렉시트) 여파로 충격에 휩싸였던 글로벌 금융시장이 점차 회복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아직 브렉시트 이전으로 회복한 것은 아닌 만큼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완전히 가신 것은 아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 6월 24일, 브렉시트 현실화라는 예상치 못한 시나리오에 전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각국 주식시장의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고 외환시장에서는 달러화와 엔화가 강세를 보인 반면 파운드화와 유로화, 신흥국 통화 등은 달러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6월 마지막 주를 지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은 대체로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아시아와 유럽, 미국의 주식시장이 반등했고 달러화와 엔화의 강세가 누그러졌다. 또한 각국 국채금리의 하락세가 멈추고 국제유가가 반등했다.

LG경제연구원은  이처럼 글로벌 금융시장이 브렉시트 충격에서 빠르게 회복된 것에 대해 주요국 중앙은행의 시장안정 조치가 유효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당사자인 영국의 중앙은행은 브렉시트가 결정된 날 2500억파운드의 자금을 시장에 공급하는 등 시장안정을 위해 필요한 일은 무엇이든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도 글로벌 금융시장에 달러화 유동성이 부족하지 않도록 통화스왑 협정을 통해 달러화 유동화 공급에 나서기로 했다. 일본은행은 통화스왑으로 확보되는 달러화 자금을 활용해 14억7500만달러를 민간 금융기관에 공급키로 했으며, 한국은행 역시 3조원 이상 유동성 공급을 확대키로 했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비롯해 최근 10여년간 발생한 크고 작은 글로벌 충격을 경험하면서 축적한 위기대응 능력을 각국 중앙은행이 가동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빠르게 안정화된 데는 여타 글로벌 충격과는 다른 브렉시트의 성격도 관련이 있다.

전문가들은 브렉시트가 일종의 정치적 이벤트로, 특정 금융기관 및 국가의 부도위험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과거 리먼사태, 남유럽 재정위기 등과 달리 금융시장의 조기 안정이 가능했다고 보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리먼사태나 남유럽 재정위기 당시에는 대형 금융기관이나 재정취약 국가의 부도 위험이 불거지면서 각종 금융연계를 통해 여타 금융기관이나 기업, 국가들로 쇼크가 증폭됐다”며 “대규모 손실위험에 직면한 금융기관들이 유동성확보를 우선시하고 높아진 신용위험으로 대출을 기피하면서 신용경색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영국은 파운드화라는 독자적 통화를 가지고 있어 그 가치가 하락하더라도 통화 미스매치로 인한 기업과 금융기관의 상환불능 우려가 크지 않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금융 불안정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를 보면 이번 브렉시트는 과거 주요 글로벌 충격에 비해 강도가 낮은 편이다.

브렉시트 이후 금융시장 공포지수인 주가변동성지수(VIX)가 급등했으나 2008년 금융위기, 2010~2012년 유럽재정위기, 2015년 위안화 쇼크 때보다는 변화가 적었다. <그래프 참조> 또한 신용스프레드의 상승세도 과거 글로벌 충격에 비해서는 낮았고, 금융기관 간 유로시장에서 달러화 유동성 상황을 나타내는 Ted스프레드는 소폭 상승했으나 눈에 띌 정도는 아니었다. 미국의 10년 국채수익률 대비 Baa 등급 회사채 수익률의 스프레드 역시 브렉시트를 전후해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영국이 실제 EU를 탈퇴하기 까지는 2년이라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향후 영국과 EU 간의 관계 설정을 두고 글로벌 금융시장에 간헐적인 충격이 전해질 수 있다.

영국은 최대한 EU 단일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현재 수준과 가깝게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EU 역시 경제대국인 영국인이 단일시장에서 멀어지는 것을 원치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EU 탈퇴 후에도 좋은 조건으로 시장 진입이 가능하다는 선례를 남기고 싶어하지는 않을 것이다.

실제 독일 메르켈 총리는 지난달 말 열린 독일 의회 연설에서 탈퇴 협상과 관련한 이기적인 행동을 배제할 것이며, EU 회원국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한 EU 단일시장에 접근할 권리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