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펀딩 양태영 대표

말 그대로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2014년 정부의 핀테크 육성의지 천명 후 지난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성장궤도에 오른 P2P대출 얘기다.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7월 말 현재 업계 총 누적대출액이 1900억원을 돌파, 2013년 50억원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부동산P2P금융은 부동산을 담보로 해 일반 신용P2P금융 대비 투자원금 회수 등에 있어 더 안전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저금리로 인해 갈 곳을 찾지 못한 목돈들이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보다 먼저 부동산P2P 금융이 시작된 미국도 사업 초기인 2013년 누적대출액 2400만달러(263억원)였던 시장이 2015년 7억8000만달러(8555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영국 또한 2013년 2500만파운드(357억원)에서 2015년 6억900만파운드(8700억원)로 24배 이상 성장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여러 가지 대내외 이슈에 민감한 주식투자의 어려움, 실질금리가 1%도 되지 않는 초저금리의 장기화 등으로 전통적인 재테크 수단이었던 부동산이 다시 주목받으며 리츠, 부동산 펀드, 부동산P2P 등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명한 부동산P2P금융 투자를 위해 투자자들이 주의할 점을 몇 가지 제시한다.

가장 먼저 대출심사인력의 전문성을 확인해야 한다. 금융과 IT의 접목이라는 산업의 특성상 대부분의 플랫폼사가 내부에 금융과 IT전문가들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부동산P2P 시장에 뛰어든 업체 중 부동산 시행, 시공, 감정평가, 건축 전문가 등 오랜 경력의 부동산 전문인력을 보유한 곳은 거의 없다. 그러다 보니 리스크 관리에 취약하고 이는 곧 부실대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다음으로는 바로 채권의 순위다. 대출자가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부동산을 경공매 절차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해야 한다. 이럴 경우 후순위 채권자들은 선순위 채권자들에 밀릴 수밖에 없게 되며 자연히 원금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P2P금융 투자상품은 모든 금융투자상품과 마찬가지로 ‘원금비보장형’이므로 원금손실의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하지만 사전에 채권순위가 1순위인지 2순위인지만 잘 따져봐도 원금손실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플랫폼 운영사의 신뢰성이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되며 그 업력이 비교적 짧은 P2P금융은 아직까지 신뢰도 측면에서 금융시장 내 입지가 좁은 게 사실이다. 업체가 난립하는 현 상황에선 더욱 그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 부분 또한 벤처캐피탈(VC) 투자를 받은 기업들은 어느 정도 신뢰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관투자자로부터 회사의 투자를 받았다는 것은 그들의 까다로운 비즈니스모델 검증과 회계감사 등을 통과했다는 것으로 그만큼 투명하게 투자금 관리가 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내 투자금을 누가 관리하는지, 어디로 대출이 나갔는지,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이 시장 내에서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만 꼼꼼히 따져봐도 투자금 손실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현대는 정보화 시대다. 재테크도 정보 싸움이다. IT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상에서 더욱 많은 정보 검색이 가능한 요즘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의 철저한 분석을 통해 잠재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자신의 목표 수익률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