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금융신문=문혜정 기자> 해외에서 최근 국내 가계부채의 구조적 증가세에 대해 높은 전세가격과 노년층 대출수요 증가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IMF는 한국 가계부채 급증의 구조적 요인으로 은퇴인구 증가, 전세가격 상승세, 비은행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급증, 상대적으로 완화적인 거시건전성 조치 등을 지적했다.

한국은 전세가 상승에 따른 세입자 부담이 증가하고 동시에 베이비부머들이 대규모 은퇴를 맞이하면서 연금제도 미흡으로 소규모 창업 등을 위한 투자용 차입이 부채의 다수를 형성하고 있다.

전세·매매가율 상승은 2009년 52%에서 2015년 11월 74%로 세입자의 부채 부담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계부채 수준이 가장 높은 연령은 58세로 미국(31~40세)과 비교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2000~2005년 도입됐던 거시건전성 조치는 은행부문의 리스크는 완화했지만 비은행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이 증가하며 2015년부터 가계대출의 절반을 비은행 기관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IMF는 50% 수준에 달하는 노인빈곤율과 높은 실물자산 비중, 일시상환과 비은행권 대출에 집중된 부채 등은 취약 요인으로 지적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일시상환대출 비중이 높을수록 가계부채 수준과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며 “정부의 고정금리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확대하려는 노력은 장기적으로 시장 안정화에 긍정적이지만 전세를 주택매매로 전환시키면서 주택담보대출 수요를 강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