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억4260만장…2009년 이후 역대 최대치
“유통수명 도래, 코로나19 확산방지 차원”

한국은행 손상화폐 교환 기준. (이미지= 한국은행)

<대한금융신문=하영인 기자> 지난해 폐기한 손상화폐 규모가 4조7644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만원권을 처음 발행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최대치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폐기한 손상화폐가 6억4260만장(4조7644억원)으로, 1년 전 6억4040만장(4조3540억원)보다 220만장(0.3%)이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금융기관 등을 거쳐 한은으로 환수된 화폐 중 화폐정사 과정을 거쳐 손상화폐로 판정돼 폐기한 은행권(장)과 주화(개)의 합계로, 단위는 ‘장’으로 통일했다.

폐기된 화폐 대부분은 은행권으로, 6억850만장(4조7614억원)에 달했다. 폐기 물량은 5톤 트럭 기준 114대 분량이다. 낱장으로 길게 이으면 총 길이가 경부 고속도로를 약 106회 왕복할 수 있는 길이가 된다.

특히 만원권이 4억760만장 폐기로, 폐기지폐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67.0%)을 차지했다. 이어 △천원권(1억6800만장, 27.6%) △오천원권(2500만장, 4.1%) △오만원권(780만장, 1.3%) 순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특히 만원권은 2007년~2008년 중 28억장을 발행, 물량이 많은 편”이라며 “유통수명이 도래하고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손상화폐의 적극적인 폐기 등으로 2019년(3억2900만장) 대비 큰 폭(23.9%)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 기간 주화(동전)는 3410만장(30억원)이 폐기됐다. 10원짜리 동전이 1470만장으로 전체 폐기주화의 43.2%를 차지했다. 계속해서 △100원(1440만장, 42.4%) △500원(260만장, 7.8%) △50원(230만장, 6.6%)이 뒤를 이었다.

한은 화폐교환 창구를 통해 교환된 손상화폐는 4720만장(106억9000만원)으로 1년 전(3180만장, 74억원)과 비교해 1540만장(33억원) 늘었다.

부적절한 보관법이 화폐 손상의 주된 이유였다. 장판 밑 눌림, 습기에 의한 부패 등으로 인한 손상화폐가 8만6700장(18억5000만원)으로 파악됐다. 이 밖에도 화재(5만7700장, 17억5000원), 세탁‧세단기 투입 등 취급 부주의(2만3000장, 3억5000만원) 등으로 인해 손상됐다.

한편 한은은 은행권이 훼손됐을 때 원래 면적의 4분의 3 이상이 남아있으면 새 화폐로 바꿔주고 있다. 남은 면적이 5분의 2 이상,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만 새 돈으로 받을 수 있다. 만일 남아 있는 면적이 5분의 2 미만이면 교환해주지 않는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