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한銀 63%↓ 우리‧하나도 반토막 수준
‘무풍지대’ 국민만 8.6% 신장 “신뢰회복에 주력”

4대 은행 사모펀드 판매고 추이. (표= 대한금융신문)

<대한금융신문=하영인 기자> 최근 주요 은행들의 사모펀드 판매잔고가 위축되고 있다. 사모펀드 논란이 연이어 불거지면서 투자자들의 불신과 영업력 약화, 일부 은행의 신규판매 중단 등에 기인한 탓이다.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판매고는 12조8986억원으로, 1년 전(18조8699억원)보다 평균 36.4% 감소했다.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를 시작으로 라임자산운용, 독일 헤리티지 파생결합증권(DLS), 디스커버리, 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대란으로 수많은 피해자가 발생하면서 이를 판매한 은행들의 신뢰도가 추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들 은행 중 하락폭이 가장 큰 곳은 신한은행이었다. 지난해 신한은행의 사모펀드 판매고는 1조6795억원으로, 2019년 4조5367억원에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신한은행은 환매중단 된 여러 사모펀드의 판매처 중 한 곳이다.

지난해 DLF 사태 책임을 물어 6개월간 사모펀드 신규판매를 중단해야 했던 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40%대 하락률을 보였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11월, 8개월 만에 사모펀드 영업을 재개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사모펀드 판매에 나서기 위한 작업을 준비 중이다.

이 중 판매고가 증가한 곳은 국민은행 뿐이었다. 국민은행은 이번 사모펀드 대란을 비껴간 ‘무풍지대’로 꼽힌다. 다만 증가세는 다소 한풀 꺾인 모습이다. 국민은행의 사모펀드 판매고는 2018년 5조2056억원에서 이듬해 6조9036억원으로 22% 증가했으나 2020년(6조9035억원)에는 전년대비 8.6% 상승에 그쳤다.

감독당국은 투자자들의 이 같은 피해를 방지하고자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시중은행들은 당국과 DLF 사태 후속조치로 ‘은행 비예금상품 내부통제 모범규준’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은행은 원금 비보장 상품과 관련해 ‘비예금상품설명서’를 도입하고 소비자가 최대 손실 발생액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또 일부 금융투자 상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하던 ‘숙려제도’를 확대했다.

특히 관련 자격증 미보유 직원, 업무숙련도가 낮은 직원, 민원 다수 유발 직원 등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직원은 판매가 제한된다.

이는 다수의 상품을 취급하는 은행 직원들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실제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이 2020년 미스터리 쇼핑 방식으로 증권사, 은행 등 금융사 총 28곳의 펀드 판매절차와 사후관리서비스를 평가한 결과 4대 은행은 최저 등급인 C등급을 받았다. 종합순위 또한 하나은행이 22위, 우리‧신한‧국민은행이 24~26위로 하위권을 차지해 체면을 구겼다.

은행권은 당분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힘쓰겠다는 입장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단시간에 투자자들의 인식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강화된 규제에 따라 영업환경이 악화된 점도 부담 요소”라며 “수익성 증대보다는 신뢰 제고를 위해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고객 중심’ 영업문화로 전환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고객 눈높이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변화하고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