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접점 늘려라…디지털화·수신상품 출시
민간 은행 눈초리에도 “자금조달책 확대 시급”

<대한금융신문=안소윤 기자> KDB산업은행이 개인금융 부문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늘리기 위해서인데, 일각에선 정책금융기관이 설립 취지에 맞지 않게 민간 시중은행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비대면 금융거래 확산을 계기로 개인 고객 상대 수신·여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점포 수가 적다는 단점을 극복하고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전행적 디지털화’를 올해 중점 전략으로 세웠으며 최근 본부 내 디지털전략부와 코어전산부의 업무 분야를 확대, 개인 디지털금융 관련 기획·운영 및 대상 사업을 선정하고 실행하는 컨트롤타워를 수립했다.

핀테크 업체와 디지털금융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 파트너십도 적극적으로 쌓고 있다.

20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모바일 금융플랫폼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와 핀테크 기술에 기반한 비대면 거래 확대, 수신상품 공동개발·판매 등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었고 이를 토대로 지난 15일에는 연 4% 금리를 제공하는 ‘KDB토스적금’을 선보였다.

산업은행의 개인금융 강화에 가장 큰 목적은 자금조달 포트폴리오 다변화다. 산업구조 재편과 혁신기업에 대한 투자 등 정책금융 지원을 위한 안정적 자금 확보를 위해 저원가성 예수금 비중을 늘려나가겠다는 것.

산업은행의 주요 자금 수급원은 산업금융채권(산금채) 발행이다. 지난해 말 기준 원화자금 중 산금채 비중은 약 42%에 달한다. 하지만 최근 채권시장은 미국 금리 인상 변수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 조달금리 상승이 뒤따를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유동성 리스크 관리전략에 있어 자금조달원에 대한 편중도 완화 및 만기 분산을 고려하고 있다”며 “단기 및 중장기 조달계획을 짜는데도 조달수단 다변화를 반영한다. 고유동성 자산 보유 확대 필요성 역시 상시 점검 중”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정치권과 은행권의 따가운 눈초리다. 산업 개발 및 육성, 기업 구조조정 등 공적 기능의 정체성을 가진 산업은행의 개인금융 시장 잠식은 민간 은행의 고유 업무영역을 침범하는 행보로도 비칠 수 있다.

산업은행은 지난 2011년에도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KDB다이렉트뱅킹 예금’을 출시해 10조원에 달하는 예수금을 확보하며 민간 은행과 마찰을 빚은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13년 민간금융기관이 영위 가능한 시장에 대해서는 정책금융기관의 업무를 과감히 정리한다는 원칙을 세웠고, 당시 산업은행은 영업점 축소 및 다이렉트 예금의 신규유치 중단을 결정하기도 했다.

이후로도 산업은행은 지난 2016년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가 업계로부터 된소리를 맞았다. 지난 2019년 국정감사에선 개인고객 수신 비중이 약 20%에 달한다는 점이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조달하는 원화예수금 중 대부분은 기업예금으로 채워져 있다. 개인 예적금으로 조달 자금을 다양화한다는 해명은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은행은 비바리퍼블리카에 1000억원 규모 스케일업 금융지원도 예고했다. 개인금융 시장 신규 플레이어인 토스뱅크 출범에도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셈”이라며 “은행권에선 가뜩이나 힘든 영업 환경에서 정책금융기관이 민간 은행 영역까지 넘볼 필요가 있냐는 불만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한금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