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드 뒷얘기] 다올·프레스토,
소통 공백 속 숨고르기

작년 경영권 분쟁 때부터 대리인 통해서만 왕래 중 "하반기에 주주제안 준비"

2024-06-10     박이삭 기자

다올투자증권 대주주 사이의 경색된 관계가 장기화하고 있다. 이들의 경영권 분쟁은 지난 3월 주주총회 종료 이래 숨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대 주주인 이병철 다올금융그룹 회장과 2대 주주인 프레스토투자자문은 법률대리인을 통해서만 필요한 소통을 하고 있다. 작년 김기수 프레스토 대표가 2대 주주에 오른 지 1년 1개월째다.

이처럼 양측은 직접 만난 적이 없을 뿐더러 대면을 시도하지 않는 상황이다.

다올투자증권 관계자는 "법률대리인과 그 법무법인을 통해 자료를 주고받아 왔다"며 "대리인끼리만 왕래한다고 한정적으로 표현하긴 애매하지만 업무적으로 처리할 게 있으면 (프레스토 측) 대리인이 저희 쪽으로 찾아오는 식"이라고 전했다.

프레스토 관계자도 "지난 주총 때 만나자고 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며 "그 이전에는 만나자는 요청을 한 적이 없다"고 전했다.

이들의 인연은 지난해 5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 대표는 라덕연 주가조작 사태로 하한가를 찍은 다올투자증권 주식을 대거 매수해 2대 주주에 올랐다.

당초 그는 주식 보유목적을 '일반 투자'라고 공시했으나 업계에서는 이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했다. 다올투자증권보다 저평가된 종목이 많은데 단순 투자라고 보기에 순수성이 낮다는 이유였다.

그로부터 다섯 달 뒤인 9월 김 대표는 보유 목적을 '경영권 영향'으로 바꿨다. 그러면서 "회사의 주주로서 좀 더 적극적인 주주 활동을 수행할 계획이 있어 보유 목적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이후 그는 주총에서 유상증자·임원진 보수심의제 신설·사외이사 선임 등을 포함한 여러 안건을 올렸지만 모두 부결됐다. 당시 주총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는 "다올 직원들과 프레스토 직원들이 서로 알은체를 안 하며 냉랭한 분위기를 보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다올투자증권이 김 대표를 검찰에 고발한 건은 프레스토가 넘어야 할 산이다.

해당 사건의 주된 쟁점은 김 대표가 다올투자증권 지분을 사들이는 과정에서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의도적으로 회피했다는 의혹이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은 의결권 있는 주식을 10% 이상 보유할 경우 대주주에 적합한지 심사하도록 규정한다. 프레스토 측 지분을 보면 현재 김 대표 본인의 지분은 7.08%이고 부인 최순자씨와 법인 순수에셋이 각각 6.40·0.87% 소유하고 있다.

프레스토 관계자는 "대주주 적격성에는 문제가 없다"며 "하반기부터 추가적인 주주 제안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금융신문 박이삭 기자 gija824@kbank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