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제1 타깃 우리금융…정무위, 압박 수위 높이나

전 회장 대출 비리 줄줄이 ‘반쪽짜리 국감’ 피하려면 임종룡·조병규 출석 관건

2024-09-03     이연경 기자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그래픽=대한금융신문).

우리금융이 다음 달 국정감사의 유력한 타깃으로 떠오른 가운데 지주 회장과 은행장을 향한 정무위원회의 압박이 거세질지 주목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 카드, 캐피탈 등 우리금융 계열사에 현장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앞서 금감원이 발표한 우리은행 부당대출 350억원에 더해 우리금융저축은행 7억원, 우리 캐피탈 10억원 규모의 의심 대출이 추가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 2024년 8월 12일 본지 보도, 우리은행,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에 350억 부당대출>

지난 6월 180억원대 횡령 사고가 터지자마자 또다시 내부통제 부실 문제가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정치금융권에선 내부통제 책임을 묻기 위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조병규 우리은행장을 이번 국감에 불러 앉힐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22대 국회 개원 후 첫 국감에서 강력한 퍼포먼스를 보여야 하는 초선 의원 입장에선 충분히 주목할 만한 사안”이라며 “특히 (임 회장은) 여당에서 미운털이 박혀 좋은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과거 박근혜 정부 당시 금융위원장을 역임했던 임 회장은 지난해 윤석열 정부의 부름으로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됐다. 우리금융에 깊게 물든 손 전 회장 색을 지우기 위한 카드였다.

그러나 ‘제 역할’을 못 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임 회장을 바라보는 여당의 눈초리가 따가운 것으로 전해진다.

게다가 금융당국이 ‘은행권 내부통제 강화’를 강조하는 상황에서 우리금융의 사고는 더욱 치명적이란 게 업계의 중론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횡령, 배임 등 금융사고가 반복되면서 금융당국이 지배구조법 개정안에 힘을 쏟는 등 내부통제 관리를 특별 주문해왔다”라며 “모든 은행이 눈 밖에 나지 않으려는 분위기 속에서 우리금융에 대한 본보기 징계를 내리기 좋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임 회장이 지난 국감에 이어 이번에도 해외 출장 등을 이유로 불출석할 여지는 있다.

당시 정무위는 임 회장을 포함한 지주 회장들의 잇따른 불출석으로 ‘반쪽짜리 국감’이라는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정무위 야당 의원실 한 관계자는 “횡령 건 관련 국감 질의 때 ‘은행장은 빼주자’라는 분위기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여야가 합의하면 증인을 강제로 소환하는 ‘강제구인’이 가능한데, 이런 경우는 흔치 않다”고 말했다.

한편 22대 국회 국감은 다음 달 7일부터 25일까지 실시될 예정이다.

대한금융신문 이연경 기자 lyk@kbanker.co.kr